earticle

논문검색

魏晋時代 哲學의 道學化 傾向 - 魏初 何晏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3rd Generation (Special Album)

위진시대 철학의 도학화 경향 - 위초 하안을 중심으로

이재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the main feathures in 'Wei-Jin' Period philosophy is the rise of 'Text-Hsueh', Text-Centered Learning, and the fall of 'Hsuan-Hsueh', Neo-Taoism. In the process of these rise and fall, Taoism turned to be very significant and important between common people. This is because Taoists intended to solve many troublesome social problems, and led the whole society with positive point of view when their society was confuse and difficulties. People at that time seemed to trust and respect Taoists very much. And the reason, I think, is from their Learning Style. Taoists strived to search for ultimate origins and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for the real society.
He-Yan, one of the famous Taoists, is the man who made Taoism very popular among the scholars and common people who only have been valued Confucianism very highly ever since 'Han' Period. He planted Taoism into Confucianism through enough argument in metaphysics. By doing so he expanded and librated the boundaries of scholarship which limited only to their own field. This, I think, is his main contribution to the philosophy pf the 'Wei-Jin' Period. He emphasized ‘Wu', have nothing and everything at the same time, which is the best way to settle the social order via governing and education. This tendency has beer common among the early Taoists. Society while they have tried to harmonize Confucianism and Taoism studying Confucian text. In He-Yan's philosophy, Metaphysics was inclined to Taoism while Humanism and Ethics were inclined to Confucianism.
So we can say that He-Yan's first contribution to the philosophy was to build a new way of philosophy, that is harmonizing Taoism and Confucianism. He understood and tranformed Taoism in his own way and mix it with Confucianism using the notion of 'being itself for itself' and 'courtesy'. That is his excellent works for the philosophy even though someone say that he perverted Confucianism very much.
His second contribution was to develop a philosophical methodlogy which has been need so much in the Chinese philosophy while western philosophy have had enough. He develop it with the notion of 'Wu', have nothing and everything at the same time. I think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in China have developed very much on the base of his 'Wu'. In his 'Gui-Wu-Lun', ontological theory referring to a 'respect for the 'Wu', he claimed the 'Wu' is a origin of 'You', everything in the world. His Wu is not 'nothingness', but 'Do, everything of itself', 'No-hava, having nothing', and 'being itself for itself', that could make every real 'you'. In this sense his 'Wu' doesn't mean the same thing as nihilistic nothingness like someone guess.
It is controversial to evaluate He-Yan's value. Sometimes he has been considered not good. He falled to win in a political power game, and so almost all of his writings were gone. His works have not valued rightly as they deserve. Systematic studies are rare. Someone begins to study him nowedays. I expect succeeding studies on him.

한국어

위진 시대 철학의 특징은 경학의 쇠퇴와 현학의 흥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도가의 사상이 수용되어 중시되었다. 도가의 학설은 천지 만물의 근원을 추구하며, 우주의 오묘함을 사변적으로 탐구하고, 난세에는 유연하게 낙관적인 인생론을 펼쳐서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하안은 한나라 이후 유학의 독존적 사상풍토에서 노장사상이 성행하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그는 도가 사상을 유가 경전에 침투시켰다. 그는 많은 학자들을 불러 모아 놓고 형이상학적인 토론을 벌였다. 그래서 위진시대는 사상의 해방을 가져왔다. 그러므로 하안은 위진시대 철학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다. 그는 특히 무를 강조했는데, 그 이유는 군주가 무위의 정치와 소박한 가르침을 실천하여 사회 질서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안을 비롯한 위진현학자들은 유학과 도학을 조화시키려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현학자 가운데서도 비교적 초기에 활동한 사상가들 사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들은 유학의 경전을 해석하면서 도학의 입장을 반영시켰다. 하안의 사상 가운데 형이상학적인 측면은 도학적 경향이 강한 반면, 인간론과 윤리학적 측면에서는 유학적 경향이 심하다.
하안은 노자의 사상을 자기식으로 바꾸고, 그것을 기초로 해서 유가의 경전을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사상체계를 수립했다. 그는 유학과 도학을 절충하고, 자연과 명교를 조화시키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그는 유학을 상당히 왜곡시켰다. 그렇지만 그것이 하안사상의 특징이기도 하다.
위진현학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철학 방법론의 발전이다. 어떤 사상이나 철학에도 그 나름의 독특한 논리나 방법론이 있지만, 중국철학에서 특히 부족한 점은 방법론이다. 하안 이후 많은 현학자들이 방법론에 관하여 토론하고 연구함으로써 큰 발전을 가져왔다.
하안은 무를 핵심 개념으로 삼아서 그의 존재론을 전개했다. 이것을 가리켜 귀무론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무는 도요, 무소유이며, 스스로 그러한 것이다. 그리고 무는 모든 만물, 즉 유의 생성발생근거이다. 무는 무소유로서 모든 현상적인 유소유들을 낳는다. 그러므로 무소유는 허무의 무가 아니다. 하안의 존재론은 노자의 존재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역시 자기식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그래서 노자의 존재론과는 차이가 있다.
하안은 후배 철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뒷날 역사에서는 그를 좋지않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왜냐하면 그는 정치적인 투쟁 과정에서 . , 실패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그의 저서도 거의 없어졌다. 그래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고, 체계적인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그에 대한 긍정적이고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앞으로 그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儒學의 道學化
  1. 유학의 전통 계승
  2. 유학에서 도학으로 전환
 Ⅲ. 何晏의 玄學思想
  1. 철학 방법론의 개척
  2. 무를 중시한 존재론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권 Ree, Jae Kwon. 충북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