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프라이버시 침해 및 보호 상관관계 모델 연구

원문정보

Study of Trade-off Model Considering Privacy Protection Level and Privacy Violation Level

김진형, 최달님, 김지연, 장은영, 김형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ivacy Protection Level)을 정의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모델을 제시한다.
Nowadays, since there are the needs of multi-purpose terminals for accessing company's internal system, the possibility of leaking the critical information is getting higher.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ritical information, DLP (Data Leakage Prevention) solutions have been deployed. The DLP solution also can reveal the personal information during the data leakage detection process. This work is motivated by the needs of privacy protection of DLP's process. Specifically, we have defined two indexes such as PVL (Privacy Violation Level) and PPL (Privacy Protection Level)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we have shown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indexes using e-mail and instant messenger cases.

한국어

개인정보 및 내부 중요정보 등의 유출 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다기능 단말을 사용하여 내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내부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증가 하게 되면서 이를 막기 위하여 기업은 내부정보유출방지 시스템을 운영한다. 그러나 정보유출을 방지 하게 위한 솔루션이 확인 하는 데이터에는 기업에서 종사하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포함되어있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프라이버시는 보호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정보유출탐지가 가능한 솔루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고려한 정보유출탐지 모델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에는 정보유출탐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라이버시의 침해정도(PVL: Privacy Violation Level)를 측정하고, 프라이버시 보호 수준(PPL: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2.1 정보유출방지(DLP)시스템과 정보유출탐지
  2.2 기관의 자산 보호를 위한 DLP 솔루션
 3.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정보유출탐지 모델
  3.1 제안 모델
  3.2 PPL(Privacy Protection Level)과 PVL(Privacy Violation Level)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진형 Jinhyung Kim.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학과 박사과정
  • 최달님 Dal-Nim Choi.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학과 석사과정
  • 김지연 Ji-Yeon Kim.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장은영 Eun-young Jang.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학과 석사과정
  • 김형종 Hyung-Jong Kim.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