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문(所聞)에서 신문(新聞)으로 : 『조보』, 대간 제도,『독립신문』사이의 내적 연관성

원문정보

From Rumors to the Press

조맹기

한국소통학회 한국소통학보 제15호 2011.06 pp.121-1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rst modern Korean newspaper, The Independent (獨立新聞), was published on April 7th, 1896. Many Korean scholars believe the idea for this paper came from the U.S. because the publisher, Philip Jaisohn (徐載弼), followed the ideology, content, and styles of modern Western newspapers in strong contrast to the news reporting previously seen in Korea. In this paper, I will trace the ways The Independent influenced the traditional Korean mode of news publication. Before The Independent, a bureaucrat in the court of the Chosun dynasty would regularly give oral presentations on public issues to the king. The king’s secretary recorded the script of these presentations and circulated any important information in an official publication called the Chobo (朝報). Most of this information was gathered by a group of officials called the Daegan (臺諫). The 11 members of this team assembled to discuss the news on a daily basis but a lack of journalistic fact-finding, and the oral tradition of the court, led to their information to be based on rumor and the details presented to the king were often highly exaggerated. Especially during the later stages of the Chosun dynasty, society was full of rumors because of lack of government control. The Independent appeared out of a need in Korean society for professional journalism. The first publication of this kind of newspaper was a stylistic, factual and ideological enlightenment for the Korean public.

한국어

본 연구는『독립신문』이전에 있었던 소문 현상과 인쇄 매체가 등장함으로써 일어난 내적인 변화를 다룬 것이다. 조선시대의 『조보』는 필사 문화를 형성했지만, 그 형식 과 내용에 있어서 표준화된 인쇄 문화의 속성을 일정 부분 지니고 있었다. 『조보』는 언어 의 질서 세계에서 사건과 사실의 질서 세계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존재한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 제도언론인 언론 3사(司)는 언어의 질서에 있어서, 심학(心學)으로 출발 했지만 사실의 질서, 기학(氣學)의 영역에 머물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아무리 3사 제도언론 이 사실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고 해도, 소문(풍문)에 의한 사실이 득세한 것이 다. 말하자면 대간제도(臺諫制度)는 소문[風聞]에 의한 언론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고 『독립신문』이 등장하면서 사실의 문화(특히 인쇄 매체) 시대가 본격적으로 출현했다. 이렇게 소문 의 관점에서 보면, 『조보』, 언론 3사의 역할, 『독립신문』은 내적 발전의 연계가 가능하 다. 『독립신문』은 외적 요인에 의해서 창간된 것이 아니라, 내적 필요에 의해서 생겼다. 하지 만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정립하는 데 있어서 지금까지의 기존의 『독립신문』연구는 이러 한 내적 변수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내적 변수에도 관심을 두고 연구할 때 한국 언론사의 통사적 연구가 가능 하다는 주장을 하려 한다.

목차

요약
 1.『독립신문』출현의 필연성
 2.『독립신문』출현의 근거
 3. 필사체 『조보』의 출현
 4. 소문 언론에 의존한 대간
 5. 사실 질서의 『독립신문』
 6. 소문에서 신문으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맹기 Maing Ki Cho.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