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Name-Changing Program and the reaction of Koreans under Japan’s Compulsory Occupation Period Lee, Dae Hwa The Family Name Change by Imperial Japan did not merely change the full name of the Koreans into Japanese style, but also it contained the political implication that sought to strength the Nationalisation/Colonisation through unifying the Korean’s idea of family conception with Japanese Law. As a result, many of Chosen people identified Name-Changing Program with changing family name, necessarily arouse considerable antipathy. Nevertheles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caught that the cause of poor registration rate was the ignorance of Chosen people, and pushed to Name-Changing Program by using the method of ‘Know-to-all-completeness’, practicing simultaneously propaganda and coercion. Since the Name-Changing Program had the goal to reorganise the family custom of Chosen people into Japanese style, it had the structural limit that it was not easy to accept the policy for those who adhered to patrilineal kinship, in addition to antagonism instigated by political turmoil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his paper aimed to point out the reasons that Chosen people had to be negative attitude to the Name Changing Program in the progress of the making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by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between introduction of clan-system and name-changing program. With conducting an inquiry into the reaction of Chosen people exposed by the contemporary press during the reporting period, this paper also investigated what was the influence of the Name-Changing Program on Chosen people and what kind of problems were in the progress of pushing the policy. In the case of ‘Name Changing of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which induced to report the same family name to same-family name-clan or clan gathering as a unit, it was very different in the essence of the Name-Changing program, s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ried to reject the ‘Name Changing of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if possible, but in the end had no remedy but to accept it because of the low rate of report. At the same time, Japanese Government-General found that ‘Name Changing of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became using the one of the methods to avoid the pressure of report on individuals. This article also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landowners and men of influence in local avoided the report because there were the problems to take follow-up measures such as property rights, land registration, apart from they, who had significant influence over most of Chosen people, were hostile to Name-Changing Program. In such a situa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hould come up with an effective plan for dealing with problems, but moved too slowly. Therefore, the reac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o the progress of Name-Changing Program was the mere oppressive way or a bunch of propaganda, no considering the custom and reality of the Chosen people. Therefore, the practice of clan-system was discussed from 1920’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distinguishing it from the real conduct of the Name-Changing Program.
한국어
‘창씨개명’ 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이 대 화 창씨개명은 단순히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것만이 아니라, 조선인의 가족관념을 일본민법의 그것과 동일하게 개편하여 황국신민화를 강화한다는 정책적 의도가 있었다. 이는 많은 조선인들이 창씨를 改姓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야기했고 적지 않은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럼에도 총독부는 창씨 신고율이 저조한 원인을 씨제도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조선인들의 무지 때문이라고 보고, 선전과 강압을 병행하는 “주지철저”라는 방식으로 창씨개명 정책을 밀어붙였다. 그러나 창씨개명이 조선의 가족관습을 일본식으로 재편한다는 목표를 갖기 때문에, 부계혈연을 고수하려는 조선인들이 선뜻 수용하기 힘든 정책이라는 구조적인 한계 외에도 총독부의 정책적 혼란이 반감을 부추긴 측면이 존재하였다. 본고에서는 씨제도의 도입과 창씨개명의 미묘한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초기 총독부의 정책 수립 과정에서 조선인들이 창씨에 거부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그와 함께 창씨 신고 기간 중에 조선인들이 나타낸 반응을 신문기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창씨개명 정책이 실제 조선인들의 생활에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였는지, 정책 추진 과정에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었는지 생각해 보았다. 종중회의를 거쳐 동성촌락이나 종친회 단위로 같은 씨를 신고하도록 유도하는 종중창씨의 경우는 씨제도 도입의 본질과는 거리가 있는 행위로써, 총독부에서는 가급적 지양하려 했지만 창씨율이 저조한 관계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와 함께 종중창씨는 개개인에게 가해지는 창씨 신고의 압력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대다수 조선인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주층이나 지방유력자층은 창씨에 대한 거부감은 논외로 하더라도, 창씨 신고를 하게 되면 토지등기와 같은 재산권 문제를 후속조치하는데 매우 번거로웠기 때문에 창씨를 꺼릴 가능성이 높았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총독부에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시기는 매우 늦었다. 따라서 창씨개명 과정에서 총독부의 대응은 초기부터 말기까지 조선인의 관습이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강압적인 방식이나 선전선동 정도에 머무르는 유치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씨제도의 실시 여부는 1920년대부터 논의되었지만, 그것은 1939년의 실제 창씨개명 시행과는 구분해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목차
II. 1939년 이전의 씨제도 도입시도와 '창씨개명' 정책의 차이점
1. 성과 씨의 차이점
2. 씨제도 도입 논의의 미묘한 차이점
3. '改姓'과 '創氏'의 혼란
4. 초기 총독부 대응의 부실함
III. 창씨제 실시에 대한 조선인의 대응 양상
1. 토지등기 문제 : 창씨를 주저하게 만드는 현실적 이유
2. 宗中創氏의 배경과 과정
3. 신분변동의 기회로 활용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