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thnographic Approach to the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B-boy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of hip-hop dance in Korean middle schools using an ethnographic approach. A sample of twenty students from B Middle School in Bucheon, Gyeonggi Province was selected. All were members of the school hip-hop dance club. They were observed, given in-depth interviews and filled out questionnaires. Content analysis was used on the collated information.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The personal satisfaction students gained from hip-hop dancing came from increased physical strength, greater confidence and the enjoyment of group activity. Students reported a strong link between their friendships and school events participated in. However they showed a non- cooperative and unstable attitude towards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and compliance with the rules. Given that the students reported a sense of positive fulfillment from the physical exercise and team work involved in hip-hop dance, as well as increased confidence, it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school’s physical education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continue to enjoy their hobby and derive the health benefits from it. Once set up and integrated into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of the school, hip-hop dance contributes to the maintenance of high standards of healthy exercise in the school’s sporting lif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힙합댄스 동아리 활동을 하는 중학교 비보이의 학교생활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 B중학교의 힙합댄스 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비보이 중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참여관찰, 심층면접, 자기보고서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힙합댄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중학교 비보이들은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체력의 향상과 자신감, 협동심, 단결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학교행사에 참여하면서 자신들의 끼를 발산하는데 매우 적극적이었다. 학교생활에 있어서는 힙합댄스를 즐기는 친구들과 끼리끼리 뭉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고 학습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은 교사와의 관계와 학습활동 그리고 규칙준수에는 비협조적이고 불안정적인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힙합댄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체력, 협동심, 자신감등이 성취되어지는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힙합댄스를 청소년들이 건전한 취미활동과 건강유지 차원에서 계속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 체육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자와 연구 장소
2. 연구 참여자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
III. 연구결과 및 논의
1. 교유와의 관계 : '끼리끼리' 모둠
2. 교사와의 관계 : '반항아' 낙인
3. 학습활동 : '대놓고 잠자기'
4. 규칙준수 : '날라리'법칙
5. 학교행사 : '끼' 발산
IV. 결론 및 제언
후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