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양경찰사 小考 - 한말 개항장(開港場)의 감리서(監理署)와 경무서(警務署)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Maritime Police History - Focus on the Kamniso and the Police Stations at Open Ports in the Later Part of Lee Dynasty

노호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s ports were opened to foreign trade under port treaties of 1876 - 1902. Beginning with the port of Pusan, Wonsan and Inchon were opened to foreign trade in Korea in that order. They were followed with some intervals by such ports as Kyonghung, Hoenyong, Chinnampo, Mokpo, Kunsan, Changwon, Songjin, Pyongyang, Yongam and Uiju. Kamniso was established at all of those treaty ports. In the later parter of Lee Dynasty, the picture of foreign settlement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Following the opening of country, the powers demanded the right of settlement in competition. As the result, variety of settlements came into being in Korea at the time. They can be grouped into three kinds: the General Foreign Settlement, the Special Japanese Settlement, the Special Chinese Settlement. Actually Foreigner reside in over the open port which were the area of the foreigner's residence. Police stations at open ports was first set up in 1896 at Inchon, Dongrae, Duckwon, Kyonghung. Until 1905, Police stations was established at Samhwa, Kunsan, Changwon, Songjin, Mokpo, Yongchun. While the Port Authority was in operation, powers of the Port Administer, called Kamni, expanded in proportion to expansion of its functions and scale. Police stations and Courts at open ports were placed under the control of the Kamni. Although the Port Authority was placed under the Provincial Magistrate in terms of administrative hierarchy, the Kamni enjoyed identical status with the latter as far as matters concerning foreigners in open ports were concerned. This article attempts to verify the history of maritime police in open ports, especially police stations. This article takes the historical approach of analysis on Maritime police Science to search for the process of how the maritime police function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japan mainly during the era of 1876 - 1905. Through analyzing diverse historical data, discovery of maritime police history in open ports is given to help understand police system in Korea. By focusing on era of open period in the later parter of Lee Dynasty, this article attempts to look for origins of maritime police.

한국어

한국의 항구는 1876 - 1902년 사이에 통상조약으로 개방하게 된다. 부산, 원산, 인천의 순으로 개방되었고, 순차적으로 경흥, 회령, 진남포, 목포, 군산, 경원, 성진, 평양, 용암, 의주가 개방된다. 감리서는 이러한 항구에 설치된다. 한말에 외국인의 거주 형태는 개항장 주변에서 주로 거주하고 개항도시는 인구가 밀집하게 된다. 근대적인 조약형식에 의하여 외국과 체결한 최초의 조약은 고종 13년(1876) 일본과 맺은 병자수호조약이다. 미국은 청의 적극적인 주선에 의해 고종 19년에 체결되었고, 영국의 경우 고종 20년, 프랑스와는 종교관계로 접촉을 시작하여 병인양요(丙寅洋擾)까지 겪었으나 서구국가와의 문호개방에 따라 프랑스에서도 한불조약은 1886년에 체결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치안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개항장경무서가 1896년부터 인천, 동래, 덕원, 경흥에 설치되었고, 1905년까지 개항장 경무서는 삼화, 군산, 창원, 성진, 목포, 용천에도 설치된다. 항만이 운영될 때 그 관리는 감리라고 불리는 항만책임자가 권한을 행사하였고, 그 감리는 외국인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 지방행정장관인 관찰사와 동등한 권한을 행사하였다. 본 논문은 개항도시에서의 해양경찰의 역사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해양경찰 기능이 1876 - 1905년 사이에 어떻게 도입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접근하려는 것이다.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개항장에서의 해양경찰의 역사를 분석함으로서 한국에서의 경찰의 기원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말의 해양경찰사를 찾아내고 복원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ll. 수호통상조약과 개항장
  1. 한말의 환경
  2. 각 국가와 수호통상조약의 체결과 개항장의 설치
  3. 개항장의 상황
 III. 개항장 경무서의 지휘 · 감독 기관으로서의 감리서(藍理暑)
  1. 감리서 설치 배경
  2. 감리서의 폐지와 부활
  3. 감리서 폐지와 일제통감부의 이사청(理事廳) 설치
 IV. 한말의 경찰제도와 개항장 경무서
  1. “警察官”에 대한 역사적 기록 분석
  2. 신경찰제도와 개항장
  3. 항구도시의 실질적인 법집행기관으로서의 개항장 경무서
  4. 을사조약과 개항장 경무서의 폐지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호래 Roh. Ho Rae. 군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