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TIS

구간검지체계 도입을 통한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Optimal Traffic Detection Systems by Introduction of Section Detection System

김낙주, 이승준, 오세창, 손영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traffic detection system can be deemed as a traffic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to serve traffic policies, traffic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The system plays a crucial role in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current traffic system has issues or problems by checking out traffic data. In addition, the system does so in finding out a point or a section where an issue or a problem has occurred, if any, and in examining the causes of the issue or problem, the extent of its impact that has occurred and spread, and a method for resolving it. However, the existing point detection system of Korea has too many flaws. In order to fix the flaws,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detection system were researched in relation to the calculation of travel time. In addition, the travel time of probe cars was obtained by field survey, and it was compared to that of spot and section detection data. Then, simul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section detection interval. In conclusion, introduction of optimal section detection system was examined in order to achieve the advanced road management including traffic policy, traffic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한국어

교통검지체계는 도로상에서 교통자료 및 정보수집체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도로 상에서 교통량, 속도 및 점유율 정보를 수집하여 현 상태에서 도로상의 교통소통정보 즉, 혼잡 또는 비혼잡 등의 교통류상태, 또한 이보다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LOS A~F로 표현되어지는 교통류 상태의 질 등을 파악하여 현 교통체계가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에 관한 판단, 그리고 문제가 있다면 어느 지점(또는 구간)이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지, 문제로 인해 발생되고 파급된 영향은 어느 정도인지,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찾고자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당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점검지체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교통검지체계는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의 보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간검지체계의 이론적 구조 검토, 현장조사를 통한 검지체계별 자료특성 비교, 그리고 최적 구간검지간격 결정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교통정책, 교통관리 및 이용자서비스 측면의 기능강화를 위해 기존 검지체계의 보완을 위한 새로운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검지체계 현황 및 관련연구 고찰
  1. 국내 고속도로 교통검지체계 설치현황
  2.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3. 관련연구 고찰
 Ⅲ. 구간검지체계 역할 및 기능 검토
  1. 구간검지체계의 역할
  2. 구간검지체계의 기능
 Ⅳ. 구간검지체계 이론적 구조특성 검토
  1.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특성
  2. 교통검지 특성과 관련된 주요 변수 고찰
 Ⅴ. 현장조사 및 분석
  1. 현장조사 개요
  2. 분석결과
 Ⅵ. 교통검지체계 설치간격 결정 방법론
  1. 기초 분석
  2. 구간검지체계 설치간격 및 통행시간 영향인자분석
  3. 최적 구간검지간격 산출방법 일반화
 Ⅶ.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수립
  1. 고속도로 구간검지간격 기준 검토
  2. 새로운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기본 안
  3. 교통혼잡 수준을 고려한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안
 Ⅷ.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낙주 Nak-Joo Kim. 한국도로공사 해외사업처장
  • 이승준 Seung-Jun Lee.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책임연구원
  • 오세창 Sei-Chang Oh.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교수
  • 손영태 Young-Tae Son.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