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阿育王塔舍利器의 特性과 受用에 관한 고찰 -東國大博物館所藏石造阿育王塔을 中心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doption of the Sarira Reliquary Style of Chinese Ashoka Stupa-Focused on the Stone Ashoka Stupa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중국아육왕탑사리기의 특성과 수용에 관한 고찰 -동국대박물관소장석조아육왕탑을 중심으로-

崔應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one pagoda discovered in Daepyeong-ri,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reproduces the Chinese Ashoka stupa, in granite. It is the only Ashoka stupa ever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significant also as evidence decisively proving that there was exchange between it and the Wuyue Kingdom. The iconography on the sarira reliquary of this pagoda, although similar to that of the Chinese Ashoka stupa, concerning images from the lives of Prince Mahasattva, Moonlight King and King Sivi, has the life story of Sudhira or the Quick-eyed King (King of Merciful Virtue) replaced by that of a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 a certain Prince Sudana. The Korean pagoda differs from its Chinese original also in terms of expressive techniques; the composition is simpler in the former, with the surrounding areas left blank and secondary characters omitted. The capstone of the pagoda, even as it closely follows the traditional ornamental style of its time in its horse ear-shaped corners, for example, is given more details, with images from the life of Buddha. In comparison, the iconographic content in the rear sections of the capstone of the Chinese Ashoka stupa is executed more bluntly, making many of the images represented there unclear. As for the stone pagoda of Daepyeong-ri, it depicts with great clarity only those images related to three chapters of Buddha’s life: conception, birth and nirvana. Meanwhile, not as many seated Buddhas are sculpted on the square stone slabs in the base section of the pagoda, as in the Chinese Ashoka stupa. But, this is compensated by a pair of two seated Buddhas sitting next to each other, a whole new iconographic element, placed on all four sides. At the site in Daepyeong-ri where the stone pagoda was discovered, two stone pieces sculpted with eye and arabesque designs were also found, suggesting that the base section was originally two-tiered; in other words, there was a lower stone base below the square base on which it is currently resting. The stone pagoda of Daepyeong-ri is significant in that although it follows the style and composition of the sarira reliquary of the Chinese Ashoka stupa, it re-adapts the content of Buddhist scripts in a manner more suited for stone construction, creating, as a result, an Ashoka stupa with a uniquely Korean stylistic stamp. The popularity of Ashoka stupas was both geographically limited and short-lived in China. In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ruling dynasty of Goryeo mainly exchanged with the Song Dynasty, there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a particular keenness to build Ashoka stupas, a symbol of Wuyue culture. This may be the reason why we have a lone surviving example in the Chungcheongnam-do area,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Gaeseong, Goryeo’s capital city, attesting to the exchange with Wuyue that once took place.

한국어

東國大博物館소장의 大坪里출토 石塔은 중국의 阿育王塔을 花崗巖으로 飜案하여 제작한 유일한 韓 國의 阿育王塔으로서 당시 吳越國과의 교류를 통해 남겨진 확실한 실물 자료이다. 中國의 阿育王塔舍利 器에 표현되는 薩􅫳太子, 月光王, 尸毘王本生과는 유사한 구성을 지니고 있지만 快目王(慈力王) 本生이 須大拏太子本生이라는 전혀 새로운 圖像으로 바뀌었다. 세부 표현에서도 中國과 달리 여백을 생략한 간 결한 구도와 인물의 수를 줄여 꼭 필요한 중심인물만을 함축적으로 배치한 모습이 특징적이다. 옥개석은 馬耳形隅飾의 기본형을 계승하면서 그곳에 표현된 佛傳은 보다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묘사 하였다. 즉 중국 阿育王塔舍利器의 隅飾부분은 圖像이 불분명한 부분이 많은 반면에 大坪里출토의 石 塔은 受胎, 誕生, 涅槃과 같은 佛傳부분의 특징만을 잘 살리고 있다. 그리고 基壇部의 방형 部材에는 佛 坐像의 수를 줄이는 대신 중국에서 볼 수 없는 二佛竝坐像을 사방에 배치하는 새로운 도상으로 바뀌었 다. 아울러 현장에서는 眼象과 唐草文이 조각된 2점의 부재가 수습되어 방형 上臺石아래 별도의 下帶石 이 놓여 있었던 2단의 구조였음을 알 수 있게 되어 앞으로 이 석재를 포함한 복원이 요구된다. 이 石塔은 중국의 阿育王塔舍利器의 형식과 구성방식을 따르되 經典의 내용을 번안하여 石造에 맞는 한국적 阿育 王塔으로 제작한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중국에서도 阿育王塔의 유행이 地域的인 한계와 오랜 기간 계승을 이루지 못한 점과 마찬가지로 宋과의 교류를 최우선으로 삼았던 高麗의 입장에서는 吳越문 화의 상징인 錢弘􆁡 阿育王塔을 고려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이유가 없었던 것 같다. 따라서 開城에서 벗어난 충남 지역에 吳越과의 교류를 상징하는 이러한 석탑 1점만이 남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錢弘阿育王塔의 기원과 조성 배경
 Ⅲ. 中國阿育王塔의 특성과 양상
 Ⅳ. 中國阿育王塔舍利器의 本生圖와 도상
 Ⅴ. 大坪里출토 石造阿育王塔의 특성과 제작배경
 Ⅵ.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崔應天 최응천. 동국대학교-서울,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