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진남북조시대 阿育王像전승과 숭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Worship of the Asokan Statue in the Period of Wei, Jin Kingdoms and Northern & Southern Dynasties

위진남북조시대 아육왕상전승과 숭배

소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studied on the transmission and worship of Asokan Statu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ocuments from the Period of Northern & Southern Dynasties and those from the Period of Tang Dynasty. The Asokan Statue generally refers to ‘the statue of Sakyamuni built by Asoka of the Maurya dynasty in India’, but a statue of the Buddha did not appear until the first century A.D., which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Asokan Statue is mere transmission created by Buddhist believers later. In addition, the Asokan Statue does not exist in Buddhist scriptures and there is still no known fact in India and the Central Asia so it is safe to assume that it might be a statue created in China. That is why the impression of the Asokan Statue in China is various and has changed with the times. There are seven or eight records of the Asokan Statue of the Period of Wei, Jin Kingdoms and Northern & Southern Dynasties in 『Ji Shen- zhou San-bao Gan- tong- lu(集神州三寶感通걧)』written by Dao-xuan(道宣) from the Period of Tang Dynasty. However, documents from the Period of Northern & Southern Dynasties including 『The Biographies of Eminent Monks(高僧傳)』in the fifth or sixth century refer to two stone statues of County of Wu(吳郡), the Temple of Chang - gan(長干寺) statue of Jiankang( 建康), the temple of Chang- sha(長沙寺) statue of Jing- zhou(荊州) and the statue of Bodhisattva of Lu- shan(곀山) as the object of worship, which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Asokan Statue was going up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The four Asokan Statues from the above - stated were extensively worshiped in the late fourth century, and it is presumed that this worship of Asokan Statue was influenced by the Asokan Stupa faith in the early fourth century. Interestingly, however, the four regions that worshiped the Asokan Statue were the hub of politics, the military and Buddhism of Southern Dynasties. Not until the Period of Northern- Zhou(겗周) of the late sixth century did the Asokan Statue appear in Northern Dynasties, which was later than in Southern Dynasties by 200 years or so. This shows that the worship of the Asokan Statue in Northern Dynasties began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incident of Jing- zhou and Jiang- ling(江겓) being occupied by Western- Wei(西魏). The worship of the Asokan Statue seen in four regions of Southern Dynasties from the above- stated was not a fixed form and changed with the times. Two statues of County of Wu and the statue of Bodhisattva of Lu-shan started losing the impression as the Asokan Statue from the early sixth century and the early fifth century, when Hui- yuan(慧遠) entered into Nirvan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temple of Chang- gan staute of Jian- kang and the temple of Chang - sha statue of the Buddha of Jing - zhou which was modelled on the Chang- gan staute continued to be worshiped until the fall of Southern Dynasties in the late sixth century. Among two statues, the Asokan Statue that represented Southern Dynasties was the golden statue enshrined in the temple of Chang- gan in the capital, as seen in books by Sheng- you(僧祐) who did active work in Southern- Qi(南齊) and Liang(겳) Dynasty. However, according to the records by Dao- xuan from the Period of Tang Dynasty, the temple of Chang- sha statue of Jing- zhou held a dominant position over the other one, which suggests that a study on the documents containing Buddhist historical materials require cautious approach.

한국어

이 논문은 중국 남북조시대 및 당대 문헌의 비교 분석을 통해 6세기 초까지의 위진남북조시대 아육왕상 전승과 숭배 상황을 연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육왕 상은‘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아육왕이 만든 석가모니상’을 지칭하나, 인도에서 불 상의 출현은 1세기가 되어서야 이루어졌으므로 아육왕상의 존재는 후대 불교도들 이 만들어낸 전승에 불과하다. 게다가 아육왕상은 한역 불전에도 나타나지 않으 며, 현재까지 인도 및 서역에도 알려진 바가 없어 중국에서 창안된 도상으로 생각 된다. 때문에 중국의 아육왕상 인식은 단일하지 않으며,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당대 道宣의 저작인『집신주삼보감통록』에는 대략 7-8건의 위진남북조시대 아 육왕상이 집록되어 있다. 그러나 남제 왕염의『명상기』, 6세기 초 겳에서 저술된 보창의『고승전』을 비롯한 남조 문헌에서는 오군의 두 석상, 양도의 장간사상, 형 주 장사사상, 여산의 문수사리상 등이 숭배대상으로 언급되어, 당대에 이르러 아 육왕상의 수가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상술한 아육왕상은 적어도 4세기 후반에 이르면 숭배현상이 나타났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아육왕상 숭배는 4세기 전반의 아육왕탑 신앙의 영향에 의한 것이 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아육왕상 숭배가 행해진 네 지역은 모두 남조의 정치, 군 사 및 불교의 중심지이다. 북조에서 아육왕상은 남조보다 200년 정도 늦어 6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출현한다. 이는 서위의 익주와 형주 점령이라는 정치적 사건 과 관련이 있어 북조 아육왕상 숭배가 남조 영향 아래 출현했음을 보여준다. 상술한 남조의 네 지역에서 나타나는 아육왕상 숭배는 고정된 것은 아니며 시 대에 따라 변화한다. 오군의 두 석상은 6세기 초를 기점으로, 그리고 여산의 문수 사리상은 혜원이 입적하는 5세기 초를 기점으로 점점 아육왕상으로서 인식이 희 미해지고 있다. 반면 양도의 장간사상과 이 상을 모델로 한 형주 장사사의 불상은 6세기 후반 남조의 멸망까지 지속적으로 숭배되었다. 두상 가운데서도 남조를 대표하는 아육왕상은 남제와 양에서 활약한 僧祐의 글에서 보듯 도성 장간사에 봉 안된 금상이었다. 그러나 당대 도선의 기록에서는 오히려 형주 장사사상을 우위에 두고 있어, 불교 사적을 집록한 문헌 연구에서 신중함이 요구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漢譯佛典에 나타난‘아육왕상’
 Ⅲ. 아육왕상으로 전승된 위진남북조시대 諸像
  1. 吳建業출토 금상
  2. 서진 建興원년(313) 吳郡松江의 두 석상
  3. 동진 揚都의 長干寺금상
  4. 동진 荊州長沙寺금상
  5. 동진 말 東掖門출토 금상
  6. 동진 廬山의 文殊師利菩薩갏像
  7. 북주 宜州겗山大像寺鐵鑛石像
  8. 기타
 Ⅳ. 위진남북조시대 아육왕상 전승과 숭배 실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소현숙 So Hyunsook. 원광대학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