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詩와 歌의 위계화와 歌의 위상을 둘러싼 제 논의

원문정보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poetry and songs and critical views on vernacular songs

시와 가의 위계화와 가의 위상을 둘러싼 제 논의*

박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has been being within the structure of diaglosia before 20th century. The materials of verse spoken and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has been regarded as a part of ‘歌 songs’, being enjoyed in the tradition of oral culture while the poetry written in Chinese classic has existed as typical written literature. It can be said that the materials of verse spoken and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was excluded from the field of literacy. In this way, there has been fundamental differences of linguistic system including the hierarchy of ‘眞書 Chinese classic’ and ‘諺文 Korean vernacular’ or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as well as the difference of enjoyment methods around the poetry written in Chinese classic and materials of verse spoken and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Despite of the difference in terms of status, the poetry written in Chinese classic and materials of verse spoken and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has been trying to narrow the gap resulted in the writing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materials of verse spoken and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in the age of diaglosia. To reach this goal, I analyzed the material works or critical essays of literati who created poetry in Korean vernacular or showed critical views on Korean vernacular songs. Even though their views toward the Korean vernacular songs seem to be inspired by the spirit of '詩經 great books of odes', the practice mean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own creation motive or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interest toward the materials of verse spoken and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in terms of ‘詩餘 the rest of poetry’, ‘敎化 edification’ and ‘觀風 observation of custom’. In addition, I paid attention to the change of literary trend and the movement of ‘rediscovery of Korean vernacular songs’ as the potential power of folk culture was growing gradually. As a consequence, the sign of change cloud be found in hierarchy order between poetry and songs, ‘眞書 Chinese classic’ and ‘諺文 Korean vernacular’ and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Needless to say, it indicates to the crack of medieval literary order.

한국어

詩歌란 말 그대로 시와 가를 합해 이르는 말이다. 시와 가를 하나의 실체로 사유하는 관습은 ꡔ詩經ꡕ에 전범을 두는 동양가요의 전통 안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20세기 이전 우리 시가사는 한시와 국문시가가 각각 詩와 歌로 존재하며 공존해왔다. 시는 문집에 실리며 기록의 대상이 되는 반면, 가는 구연을 통해 향유되어 왔다. 이는 국문으로 된 시가가 문자성을 획득하지 못한 채, 시와 분리된 채 존재해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시와 국문시가 간에는 향유방식과 장르실현 방식의 차이뿐 아니라 眞書와 諺文, 문어와 구어라는 언어체계의 차이가 근본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국문시가와 한시라는 영역 주위에는 이렇듯 표기 체계의 차이라는 근본적 문제뿐 아니라, 구어와 문어의 불일치, 시와 가의 분리, 담당층의 분리라는 문제가 중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국문시가와 한시는 이러한 위상과 담당층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존하고 때로는 영향 관계를 주고받으며, 표기 체계의 차이로 인한 간극을 해소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시와 국문시가가 각각 시와 가로서 존재했던 이중언어 시대 국문시가의 존재의의와 가치를 재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詩文에 익숙하면서도, 국문시가를 남겼거나 국문시가에 대한 비평의식을 보여준 문인들의 글과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시가관은 ꡔ詩經ꡕ의 風敎나 性情論이라는 전범적 사고에서 출발하였지만, 그것이 이론과 창작에서 실현되는 방식은 개인의 창작 동기나 시대정신에 따라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인들의 국문시가에 대한 관심을 詩餘라는 표현론적 관점과 敎化와 觀風이라는 효용론적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또한 민간문화 역량이 증대함에 따라, 歌의 본질과 효용에 대한 재발견이 문예사조로 나타나는 경향도 주목하였다. 시와 가 사이의 거리를 좁히려는 문인들의 노력과 민간문화의 역량이 더해지면서, 詩와 歌, 眞書와 諺文, 문어와 구어로 확고하게 위계화된 질서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중세적 문예 질서의 균열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詩歌와 이중언어 시대 詩와 歌의 존재양상
 2. ‘歌’로서의 국문시가와 그 의의
 3. 詩歌一道 정신의 회복과 ‘歌’의 재발견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애경 Park, Ae-kyung.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