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기도당굿 유형이 화성재인청 이동안류 춤 형성에 미친 영향

원문정보

Impact of Gyeonggi-do Danggut on Development of Idonganryu Dance in Hawseong Jaein Administraion

김고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a fundamental purpose to reveal impact of Gyeonggi-do Danggut on devlopment of Idonanryu dance upon a premise that Korean dance is highly related with Gut, a shamanistic action. And also the study has a final purpose to theoriz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cultural factors in our daily life and dance through analysing connection Gut and traditional dance. First, Ssanggunwonggeori and turbalim uses Kkwaenggwari in a dance, this display of dance affacted Jinsoi dance. Second, Taepyungmu could affected balnori in turbalim rhythm and dance. Third, Sinkaldaeshinmu has less affected by Gyoenggi-do Danggut than above-mentioned two kinds of dance because it means to lead dead people to heaeven in Gyoengi Saenamgut rather than Gyoengi-do Danggut from the origin. However, Sinkaldaeshinmu also could be said to be affected by Mugu in Gyoenggi-do Danggut in considering daesin knife used in songut of Gyoenggi-do Danggut is mugu made of bamboo. The directions of traditional dance studt are as follows by above-mentioned results. First, Korean traditional dance is a form developed under continued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culture. Therefore it needs to identify Korean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dance by attempting continuous study on cultural background and meaning of prototype of traditional dance. Second, the investigation on co-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gut need to try historical considertaion about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shamanism culture, gut, and dance culture in the basis of origin of traditional dance developed one step forward from external analysis. Third conclusion drew from co-relationship between shamanism and dance formation is the result of studying characterstics of external dance only.

한국어

한국춤의 경우 무당이 수행하는 굿 형태의 영향을 받은 춤의 형태들은 전통춤의 살풀이와 태평무가 대표적이며, 신무용의 무당춤이 있다. 전통춤의 형태 중 이동안류 춤의 경우 화성이라는 경기도 지방의 재인청에서 형성된 대 표적인 전통춤으로서 경기도 지방의 굿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당굿 이 이동안류 춤 형성에 미친 영향을 밝힌다는데 근본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굿과 전통춤의 연관관계의 분석 을 통해서 인간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와 춤이 맺는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체계적으로 이론화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연관관계에 대한 규명뿐만 아니라, 굿의 유형이 하 나의 춤 형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규명한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경기도당굿과 화성재인청의 연관관계
  1. 경기도당굿의 역사 및 특징
  2. 경기도당굿 활동에 있어서 화성재인청의 역할
 이동안류 춤 형태에 나타난 경기도당굿의 유형
  1. 진쇠춤
  2. 태평무
  3. 신칼대신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고운 Kim, Koh-Woon.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석사 졸업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