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문무용인이 인지하는 즉흥무용의 교육적 효과탐색

원문정보

A Search for Educational Factors of Improvisation Dance as Perceived by Professional dancers

최재희, 송지환, 김대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n attempt to search for educational factors of improvisation dance, efforts were made in this study to derive rich empirical data from experts by employing qualitative methods on the one hand, and to apply concept mapping by which information is systematically interpreted through conceptual systematization and structuralization by using quantitative methods on the other hand. For this objective, brainstorming was used to collect, classify and typify the ideas of 5 dance experts (members of C Dance Troupe in J City) about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acquired from improvisation dance?' From the brainstorming, 6 clusters could be formed: "creativeness", "concentration", "sociality", "self-discovery", "awareness of time and space" and "instantaneous reactionary force". 'Creativeness' (M=6.15) was found to have the foremost importance among the clusters, followed by 'concentration' (M=6.08), 'sociality' (M=6.07), 'self-discovery' (M=5.90)’, 'awareness of time and space' (M=5.80) and 'instantaneous reactionary force' (M=5.69) in order. The improvisation dance class given in an empirical way could not only promote imaginative power and improve creativeness but also awaken free subconsciousness dormant within a person as well as help him or her experience mutual relationship as required in connection with others through concentration and awareness of time and spac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즉흥무용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을 통해 전문무용인들이 생각하는 풍부한 경험적 자료를 이끌어 내고 양적인 방법으로 정보의 개념적 조직화와 구조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해석하는 개념 도 연구법을 적용하여 전문무용단체 C무용단 (J시에 소재)의 정단원 5명을 대상으로 ‘즉흥무용을 통하여 습득되 어진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가’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으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유형화 시켰다. 그 결과 “창의성”, “집중력”, “사회성”, “자기발견”, “시・공간의 인지”, “순발력”의 6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각 군집간 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는 ‘창의력(M=6.15)’, ‘집중력(M=6.08)‘, ’사회성(M=6.07)’, ‘자기발견(M=5.90)’, ‘시·공간 의 인지(M=5.80)’, ‘순발력(M=5.69)’ 순으로 나타났다. 즉흥무용의 경험적 수업형태는 상상력 개발과 창의력을 향 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스스로에게 내재된 자유로운 잠재의식을 일깨우며 집중력 및 시・공간의 인지 를 통하여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요구되는 상호관계까지도 경험되도록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방법
  1. 개념도 연구법
  2. 아이디어 생성 및 서술문 구조화
  3. 자료 분석
 결과 및 논의
  1. 결과
  2.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재희 Choi, Jae-Hee. 전북대학교 겸임교수
  • 송지환 Song, Ji-Hwan. 전북대학교
  • 김대진 Kim, Dae-Jin.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