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만 2세 미만 아동의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Childcare Services: A study targeting childcare services for children below two years

전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ldcare services are very important to parents and society, and the demands for childcare services are gradually growing with the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Childcare services are also a major issue in Korea because they can do much for solving the low birthrate. In order to identify the methods to enhance parents' levels of satisfaction in childcare services, this study uses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08”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and analyzes the trend in the usage of childcare services by paren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study ha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childcare services for children below two years should address the requirements of working mothers and double-income families because the services were mainly used for working mothers to continue in their jobs. The number of government-supported “all-day one-to-one childcare services” should increase to include the families with 2-24-month-old babies from the current 3-12-month-old babies, thereby helping working mothers to get back to work postdelivery and to satisfy their demands of the services. Moreover, the government subsidies for double-income and single-income families should be based on different standards because the gross income of double-income families is higher than that of single-income families. Second, families using one-to-one childcare services should be given as much public support as that existing for families using day care centers because the families with children below two years used the one-to-one childcare services more frequently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e numbers of the one-to-one childcare services that are supported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be increased. Further, the cost of one-to-one childcare services should be tax-deductible considering fairness with the financial supports of day care centers. Third, public support is required for families using relatives, such as grandmothers. The poorest 70% of Korean families using services of private nannies including relatives should be provided childcare benefits, and the benefits should be increased from 100,000–200,000 won to 400,000–600,000 won, similar to the all-day one-to-one childcare benefits. Finally, in order to complement the one-to-one childcare services, certification systems and maintaining quality control over “family day care centers”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are required. Additionally, more day care centers exclusively for children below two years should be set up. There is a need for rigid monitoring and public support for building protective day care centers in which the children feel comfortable and safe.

한국어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해 사회 전반적으로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영유아 부모의 욕구를 반영한 보육서비스의 제공은 영유아 부모의 만족도를 높이고 심각한 사회 문제인 저출산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 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 도출을 위 하여 한국아동패널 2008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만 2세 미만 아동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소비실태와 만 족도를 분석하였고,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만 2세 미만 아동 보육서비스의 주된 이용 동기는 어머니의 취업인 것으로 나타나 맞벌이 가구의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영유아 보육서비스가 필요하다. 취업모의 출산 후의 원활한 직장 복귀를 돕고, 만 2세 미만 아동 의 개인대리양육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아이돌보미 영아종일제 서비스의 대상 월령을 현 재의 출산 후 3-12개월에서 2-24개월로 확대해야 한다. 또한, 맞벌이 가구의 총소득이 외벌이 가구에 비해 많 음을 감안하여 아이돌보미 보육료 지원기준의 차별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만 2세 미만 아동의 경우, 개인대리양육 서비스의 이용률과 부모의 만족도가 보육시설 대비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정부의 보육지 원정책이 현재의 보육시설 위주에서 개인대리양육 서비스 위주로 전환되어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 운영 중인 아 이돌보미 서비스를 확대하고, 경기도의 가정보육교사제도 등 각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개인대리양육 서비스에 대 한 정부 지원도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대리양육자 고용비용에 대한 소득공제를 인정하는 등의 세제적인 혜 택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혈연 대리양육자를 이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한 양육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보 육시설 미이용 가구의 양육수당 지원을 현행 차상위계층에서 소득 하위 70% 가구에게까지 확대하고, 지원금액 도 현행 10-20만원 수준에서 아이돌보미 지원 금액인 40-60만원 수준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 로 개인대리양육 서비스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가정 보육시설과 민간개인 보육시설의 평가인증시스템 강화와 지속 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영아전담 보육시설의 수적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정부가 주력하고 있는 보육시설 의 보육료지원과 더불어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보호를 위한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이 병행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
  2. 영유아 서비스에 대한 정부지원정책
  3.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소비실태
  4.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욕구 및 만족도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1.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전반적 소비실태
  2.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유형별 소비실태 및 만족도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상민 Jun, Sangmin.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