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자본주의로서의 연기자본주의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Dependent Co-arising(Pratītyasamutpāda) Capitalism As a Buddhist Capitalism

윤성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at occurred in 2008 caused the public to become skeptical of market capitalism, but sufficient measures to address deficiencies in the system have not yet been taken. A kind of Buddhist capitalism called as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or Pratītyasamutpāda Capitalism), an innovative philosophical concept and economic structure which can basically replace market capitalism,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 The presumption that maximum utility pursued by consumers and maximum profit sought by producers will result in the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guided by Smith’s “invisible hand” is based on the mistaken belief that market capitalism can achieve market efficiency despite the selfishness and greed of people.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emphasizes that people's suffering stems from their selfishness, and their desire for money and material things and thus, society cannot be changed unless people are not changed. A system of Buddhist economic ethics will be necessary for coping with the complex, intertwining conflicts among people over possessions, and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can provide solutions to the problems market capitalism breeds.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is a theory presenting a multi-faceted view of how consumers and producers perceive problems and how they act in solving them and responding to changes within the organizing framework of fair and compassionate market, government and state. In other words,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is a kind of capitalism that can be compared to Indra’s net, where personal, social, and governmental aspects are seen to be inter-connected. The principles of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stipulates market actors, roles of government and markets, and workings of Dependent Co-arising Capitalism. It embodies unusual presumptions, perspectives and philosophical views; in this form of capitalism, the Buddhist economic community organizes aspects of life, assets, people, society and nature together in pursuit of the Buddhist paradise(pure land).

한국어

2008년 발 세계경제위기를 계기로 시장자본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가 일어났지만 새로운 대안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불교자본주의로서의 연기자본주의는 시장자본주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철학이요 새로운 경제체계이다. 개인은 효용을 극대화하고 기업은 이익을 극대화해도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가능하다는 가정은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을 그대로 두고 효율성을 추구하려는 시장자본주의의 환상이다. 연기자본주의는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이 재물로 인한 고통의 중요한 원인이며 인간이 먼저 변화해야 사회가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재물에 관한 타인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교경제윤리가 필요하고 시장자본주의의 결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기자본주의원칙도 필요하다. 연기자본주의원칙은 공정하고 자비로운 시장, 정부, 복지국가 내에서 행위자들이 어떻게 사고하고 행동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에 대응하는가에 대한 법칙이다. 연기자본주의 원칙은 시장에서의 행위자, 정부와 시장의 역할, 연기자본주의의 작동에 관하여 규정한다. 연기자본주의는 불교경제공동체를 통해 불국정토를 지향하며 삶, 재물,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하여 혁명적으로 새로운 가정, 관점, 철학을 제시하는 인드라망 자본주의이다.

목차

국문요약문
 I. 서론
 II. 시장자본주의의 문제점
 III. 연기자본주의의 성격과 불교경제윤리
  1. 연기자본주의의 성격
  2. 연기자본주의와 최근 시장자본주의의 변화
  3. 불교경제윤리
 IV. 연기자본주의원칙
  1. 연기자본주의의 행위자와 성격에 관한 원칙
  2. 연기자본주의의 작동에 관한 원칙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성식 Yoon, Sung Sig.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