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栗谷 李珥의 정치철학과 禪

원문정보

A Study on YulGok's Political Thoughts and Seon(meditation)

율곡 이이의 정치철학과 선

이조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YulGok Lee Yi (1536-1584)'s key concept of the way of cultivating mind and Seon(meditation). And his own way of cultivating mind and Seon(meditation) are very near concept and also similar to Buddism's way of mind cultivation and Seon (meditation). Confucianism emphasized that the recovery of the law of nature(天理) had to be obtained by changing of physical substance(氣質). But basically there were two different ways to obtain the recovery of the law of nature in korean confucian tradition. At first Toegye insisted that it could be obtained by training his body and mind with the way of the law of nature. At second, YulGok insisted that it could be obtained by cultivating his ability to change of physical substance(氣質).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wo scholars is different way to confront human desire in mind. YulGok's main focus of the way to cultivate his mind was to purify Qi(氣). And the sincerity of the will(誠意) can make his mind obtain the change of physical substance(氣質). His methodologies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Buddism. Because Buddism emphasizes that sort of mind cultivation and Seon (meditation).

한국어

栗谷 李珥(1536-1584)는 조선 성리학에서 퇴계와 더불어 대표적인 성현으로 간주된다. 그의 성리학적 철학체계는 修己學과 誠學으로 집약되며, 그의 修己學的 체계는 통상 ‘마음을 다스리는’ 心學이며, 이런 점에서 불교적 禪學과 맞닿아 있다. 조선의 성리학적 전통에서 볼 때, 퇴계의 敬사상은 본연성을 기르기 위해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율곡의 誠之는 본연성을 가리는 氣質을 바로잡는 것이 핵심적 事案임에 주목한다. 退溪는 천명을 알고 따르기 위한 事天으로서의 敬을 강조하지만 栗谷은 본성을 국한시키는 탁한 기질을 바로 잡는 교기질을 중시하기에 誠을 강조한다. 율곡에 있어서 교기질은 곧 誠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退栗의 수행론은 수행의 대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율곡은 기질의 변화를 핵심적 수양방법으로 삼았던 반면에 퇴계는 직접적인 天理의 체득을 학문수양의 중심에 놓았던 것이다. 즉, 율곡에 있어 인간의 도문학과 존덕성의 知行竝進은 氣質을 바로 잡아 본연성을 회복하기 위함이다. 학문을 하는 데는 모름지기 그 氣質에 따라서 그 편벽된 것과 그쳐야 할 곳에 그치지 못한 것을 살펴서, 그중 가장 절실한 것을 택하여 자기의 힘을 기울여야 한다. 비유하면, 약을 쓰는 것과 같은 것인데, 병의 증세가 여러 갈래일 때에는 증세에 대응하여 좋은 약방문을 신중하게 택하는 것과 같이 해야 한다. 따라서 氣質이 같지 않으므로 그것을 교정하는 데도 각각 방법이 다르다. 여기에는 세 가지 방법이 행해진다. 즉 正直, 剛克, 柔克의 三德이 그것이다. 正直, 剛克, 柔克의 三德의 방법론이 율곡에게서는 修養論이자 修己論이며, 동시에 선학적 목표체계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通涉的 인식론에 입각하여 理氣의 兩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변증법적 승화의 논리를 강조했고, 이러한 논리를 儒家의 보편적 정치사상의 문제인 修己와 治人, 修己와 治國의 논리로 무한히 확장해 나갔던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율곡의 정치철학 체계: 理通氣局說과 氣發一途說
  1. 율곡의 理通氣局說
  2. 율곡의 認識論과 四七氣發一途說
 Ⅲ. 율곡의 矯氣質’의 수양론과 선
  1. 율곡의 心性論
  2. 율곡의 ‘敬’개념과 ‘矯氣質’
  3. 율곡의 矯氣質과 선
 Ⅳ. 결론
 국문요약문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조원 Lee, Cho-Won.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