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 - 『최척전(崔陟傳)』ㆍ『강로전(姜虜傳)』ㆍ『김영철전(金英哲傳)』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Reading of Historical Novel Against Manchuria as a Description of the Memory and Oblivion in the 17th Century:focused on Choicheok-Jeon[崔陟傳]ㆍGangno-Jeon[姜虜傳]ㆍKimyoungcheol-Jeon[金英哲傳]

이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17세기 초 만주 일대에서 후금과 명,그리고 조선이 군사적으로 충돌했 다.이때 강홍립의 군대가 명나라 군을 지원하기 위해 출정했다가 후금에 투항한 소위 ‘심하(沈河)의 원정’이 일어났다.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속 에서 백성들은 전란의 고통과 이산의 슬픔을 처절히 맛보았고,그러한 체험 담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나타났다.그 대표적인 작품이 「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 등이다.본고에서는 이 세 작품에 담긴 전란 서사 속 고통과 분노의 시선을 의도성 문제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의 존재양상 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눠 살펴보았다.즉,(가)서사에서 의도적으로 기억해낸 역사(체험담/이념적 변형),(나)서사에서 의도적으로 망각시킨 역사(시 대․사회에 대한 불만과 비판),(다)서사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기억된 역 사(리얼리티 획득을 통한 자료의 간접적 복원),(라)서사에서 의도하지 않았 지만 망각된 역사(상상․서사적 독법이 요구되는 사건․사실)등으로 대별 해 작품에 투영한 서사의 진실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이 중 의도하지 않았 지만 기억되거나(다)망각된(라)역사와 리얼리티는 작품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 독법을 요한다고 보았다.그리고 서사 속 의도된 기억과 망각의 주체는 개인적,또는 집단적일 수 있지만,비의도 적 요소는 작가의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독자의 소관이라 보았다.이는 분 명 역사가가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고 재구성하는 시각과는 다른 접근 방식 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대에 특정 사회가,작가와 독자가,그 전란을 기억해 내고 싶어하거나 망각하고 싶어하는 방향으로 역사적 인물과 사건의 의미와 이미지를 결정 짓고 그것에 따라 서사라는 겉모습을 만들어 내면,그것이 결국 하나의 실 체요 진실인 양 바뀌기 쉽다.이러한 사고(의식)의 균열 지점이 이전과 현저 히 다르게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바로 17세기였고,특별히 명․청 교체기에 만주를 중심으로 한 ‘심하의 원정’과 포로 생활기를 다룬 전쟁 소재 역사소 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
 3.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기억과 망각의 존재 양상
 4.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비의도적 기억과 망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민희 Lee, Min-Heui.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