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역사와 문학 속의 만보산 사건 - 80주년에 즈음하여

「万宝山」, 농민문학과 개척문학

원문정보

「万宝山」, 農民文学と開拓文学

「만보산」, 농민문학과 개척문학

유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만보산 사건 관련 언설 중 일본문단에서 생산된 소설을 고찰 대상으로 한다.그 대표적인 문학작품에는 이토 에이노스케(伊藤永之 介)의 단편소설「만보산(万宝山)」(1931.10)과 장혁주(張赫宙)의 장편소설 개간 (開墾) (1943.4)이 있다.만보산 사건을 다루고 있는 일본어소설 「만보산」과 개 간 은 같은 소재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지만 하나는 농민문학,또 다른 하나 는 개척문학으로 분류된다.작가가 어떠한 동기로,무엇을 목표로 하여 ‘사 건’(사실)을 재해석하고 서사하였는지,그리고 무엇보다 그 근저에 깔린 이 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만보산 사건을 형상화하는 문학적 담론들을 이해하고 ‘사건’과 표상을 읽어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만보산 사건이 일본 문학에서 어떻게 서사되는지를 고찰 하기 위해 먼저 만보산 사건이 일본에 보도된 몇 가지 예를 신문잡지 기사 를 통해 살펴보고,「만보산」과 개간 의 작가들이 어떠한 행보를 거쳐 어떠 한 문단적 상황 하에서 각각의 작품을 창작하였고 어떻게 서사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작가가 어떠한 동기로,무엇을 목표로 하여 ‘사건’을 재해석하고 서술하였는지,그리고 근저에 깔린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 였다. 프롤레타리아문학 단체들의 전성기에 단체 중앙위원회의 지도에 따라 식 민지문제를 다루면서 일본과 조선 농민들의 연대를 지향하면서도 후쿠모토 식의 계몽적 계급의식이 아니라 농민들에 의한 농민들의 문학을 이상으로 했던 이토 에이노스케는 이중으로 고통 받는 만주의 조선인들을 일본제국 주의 고발을 통해 그려냈다. 식민지 출신으로 일본 중앙문단에서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주목 받던 장혁주는 조선인으로서 자신이,그리고 자신의 민족이 제국 안에서 자리매 김하기 위한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였고,이를 만주를 통해 그리려 하였다. 그러한 모색을 통해 획득된 장혁주의 시선이 이토 에이노스케가 ‘만보산 사 건’을 바라 보는 그것보다 더 제국적인 것이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면서도 굴절된 것이지만,이 역시도 역사의 산물이라 해야 할 것이다.

일본어

本論は、万宝山事件に関連した言説の中でも、日本文壇で生産された小説、伊藤永之介「万宝山 」(1931.10)と張赫宙 開墾 (1943.4)を研究対象とす る。「万宝山」と 開墾 は同じ題材を扱ったテクストでありながらも、一方 は農民文学、もう一方は開拓文学として分類されている。それぞれの作家 はどのようなきっかけで、何を目的として「事件」を再解釈し、叙事したの か、そして、その根底にあるイデオロギーは何かを明らかにすること が、万宝山事件を形象化する文学的言説を理解し、「事件」と表象を読み取 る重要な基準になるであろう。 本論では、万宝山事件が日本文学でどのように語られたかを考察するに 当たって、まず、万宝山事件が日本に報道された例をいくつかの新聞記事 を通じて確認し、それから、「万宝山」と 開墾 の作家は、それぞれどのよ うな道を歩んで、またどのような文壇的な状況の下でそれぞれの作品を創 作し、どのように語ったかを確認することで、これらの作品がもつ日本文学史における位置と 意味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  プロレタリア文学団体の全盛期に中央委員会の指導の下、植民地問題に 着目し、日本農民と朝鮮農民の連帯を目指しながらも、福本式の啓蒙的階級 意識ではなく、農民の農民による文学を理想としていた伊藤永之介は、二 重三重の圧迫に苦しむ在満朝鮮人たちを日本の帝国主義を暴くことで描き 出した。 一方、植民地出身として日本の中央文壇で「朝鮮人」という理由から注目 されていた張赫宙は、朝鮮人としての自分自身が、また自分の民族が、帝国の中で処すべき位 置を探し求めた結果、それを「満洲」を通じて描こうと したのである。そのような努力によって獲得された張赫宙の「万宝山事件」を見つめる視線が、 伊藤永之介のそれより「帝国的」であったということ は、屈折されたアイロニーでもあり、歴史の産物でもあるだろう。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만보산 사건’에 관한 보도와 언설
 3. 「만보산」의 이토 에이노스케와 개간 의 장혁주
 4. 농민문학 「만보산」과 개척문학 『개간』
 5. 맺음말
 참고문헌
 日文要約

저자정보

  • 유수정 柳水晶.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