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상과 사학

殷商시기 甲骨文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屬性

원문정보

A Study of Communication Factor in the Chinese augury bone

은상시기 갑골문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속성

이범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a study of communication factor in the Chinese augury bone, as a communication text, a communication history text and a communication thought text, in terms of sender message channel audience effect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many respect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hinese augury bone have been the generic references of the Oriental culture. Based on various research results about The Chinese augury boney as a communication text, this paper explores factors of communication text related with meta-communication as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and a structure of communication, a method of communication. The Chinese augury bone consider graphic element as communication tool, its manager as sender or communicator, the record as message, the bone as channel, its reader as audience, text understanding and behavior as effects, the augury bone producer as journalist, the tying bone in a bundle as old style book. In the Chinese augury bone, one property of communication thought is that the political ideology, which is related to the strong and weak of the graphic style and determines the naming method of kings.

한국어

갑골문이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텍스트인 이유는 갑 골문니 커뮤니케이션 개념 및 구성 요소 모두를 갖추고 있는 인간의 커뮤 니케이션 현상으로서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상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하기 때문이다. 송신자는 갑골에 새길 내용을 정한 사람이고, 메시지는 새겨진 문자이며, 매체는 거북이나 짐승의 뼈이고, 수용자는 갑골문을 읽은 사람이 며, 효과는 독해를 통한 認知및 그에 따른 행동이고, 커뮤니케이션 상황은 이러한 일련의 시공간적 환경 등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그 근거이다. 중국 殷商시기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갑골문이 문자성 및 전래성 을 갖는다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역사 텍스트로서 손색이 없음을 뒷받침 한다. 갑골문은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문양⋅부호⋅문자로서의 속성을 갖 추고 있고, 왕실 기록과 같은 내용 면에서 당시 사회 현상 전반이라는 메 시지나 콘텐츠를 담고 있으며, 갑골 관리자였던 貞人이나 龜人의 역할은 오늘날 언론인의 역할과 유사하고, 문서처럼 정리⋅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 보관되었다는 점 등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당시 사회의 의식과 가 치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갑골문은 커뮤니케이션 사상사 연구의 텍스트가 된다. 갑골문 서체 및 그 힘의 강약 변화가 종교적 가치관의 강 약에 따라 달라졌다든가, 갑골문 기록인 왕명에서 정치 이데올로기를 분 석해 낼 수 있다든지, 갑골문에 새겨진 10간 12지가 음양오행설과 결부되 어 중국 철학 원리의 구성 요인이 된 것 등이 그 근거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갑골문에 대한 연구 시각 넓히기를 위해 던지는 화 두에 그치는 초보적 시론인 만큼, 분석의 심층성 및 방법론의 정치성 등 에서 부족한 부분은 갑골문에 대한 학제간 연구, 인구의 양적 확산 및 질 적 발전으로 인하여 보다 생산적으로 극복 가능하리라고 믿기 때문에 이 후의 연구 과제로 남겨 둔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갑골문과 커뮤니케이션
 Ⅲ. 갑골문과 커뮤니케이션 역사
 Ⅳ. 갑골문과 커뮤니케이션 사상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범수 Lee, Bum-Soo. 동아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