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상과 사학

조선후기『萬機要覽』을 통해 본 短兵武藝 연구

원문정보

The State of Da ngbyongmuye through 『Mangiyoram』 in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만기요람』을 통해 본 단병무예 연구

곽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danmyeongmuye was enforced to military in Hullyeon dogam, Geumweyeong, and Eoyeong-cheong through Siye in chapter gunjeong of Mangiyoram.. The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typical type of siye performed to military were jungsun and gwanmujae. magun and bogun were performed separately with chosi as their center and the basic forms of test have wongi and byeolgi in common. Second, there was a special restriction of application in jungsun. applicants in waegeomgyojeonsu must not apply yedo and hyeopdo in duplicate and applicants in yedo and hyeopdo must not do in the same manner. this was a considerate system to the military because they could be a professional through a systematic training of only one kind of danmyeongmuye. Third, one of the special features in gwanmujae was bogun byeolgi. waegeomgyojeon, yedo, hyeopd eonwoldo, jedokgeom, bongukgeom, gichang, deungpae, nangseon, jukjangchang, dangpa, gwonbeop, gonbang, mokjangchang were designated and performed. 13gi except mokjangchang were martial art in muyedobotongji. danmyeongmuye was actually supplied and very helpful to the military. Forth, Siye made the military practice skills and improve martial art ability of their own free will and it was a great reward system to an excellent military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oncrete meaning of danmyeongmuye at the central military camp in late Joseon dynast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萬機要覽』 「軍政篇」 試藝를 통하여 訓鍊都監, 禁 衛營, 御營廳의 군사들에게 어떠한 短兵武藝가 시행되었는가를 검토하 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訓鍊都監, 禁衛營, 御營廳군사들의 단병기예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실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행된 대표적인 試藝로는 中旬과 觀 武才였다. 둘째, 中旬의 특징은 응시자지원 제한규정에서 倭劍交戰手가 銳刀와 挾刀를 응시할 수 없고, 銳刀와 挾刀手가 倭劍交戰을 중복해서 응시할 수 없었다. 셋째, 觀武才의 특징은 步軍別技로 倭劍交戰, 銳刀, 挾刀, 偃月刀, 提 督劍, 本國劍, 旗槍, 籐牌, 狼筅, 竹長槍, 鎲鈀, 拳法, 棍棒, 木長槍등 14 기가 지정되어 시행되었으나 木長槍을 제외한 13기는『武藝圖譜通志』에 보이는 무예들이었다. 넷째, 試藝는 군사들이 자발적으로 평상시에 개인기량을 연마하여 평 가하고 자신의 무예실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군사들에게 포상 을 내리는 좋은 제도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중앙 군영에 서 短兵武藝가 갖는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萬機要覽』의 구성과 내용
 Ⅲ. 試藝에 보이는 短兵武藝현황
  1. 中旬에 보이는 短兵武藝
  2. 觀武才에 보이는 短兵武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낙현 Kwak, Nak-hyun. 용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