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

원문정보

Aesthetics melodic thought research Jongmyojeryeak

김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inds aesthetic elements and examines their aesthetic sense focusing on the melody of the piri in the completed Jongmyojeryeak with various ideational backgrounds from the views different from the aesthetic sense of Jongmyojeryeak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Jongmyojeryeak is to hold a memorial service at the place where the godship of the line of kings and queens in Joseon is set. It is the crystal of Confucian memorial ritual and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of ancestral ritual culture and is designated as No 1 of national chie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1964. Also, on May 18th, 2001, it was registered first in Korea as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designated by UNESCO and was recognized of its superiority. It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of ancestral ritual culture having fate with Joseon Dynasty for a long period but also has been recognized as the essence of our music compiling the holistic beauty of artistic forms according to music, songs, and dance created by our ancestors. Also, it has as its background the traditional thoughts including the Confucian thought as well as Yeak thought, Yin-Yang School, Samjae thought (三才思想), and Palgoe thought (八卦思想). This Jongmyojeryeak internalizes landscape beauty, Yojang beauty, natural beauty, magnificent beauty, and harmonious beauty. Landscape beauty can be found in Huimun and Jeonpyehuimun. Yojang beauty is the figure that is only shown in Jeongdaeup. Natural beauty is the skilled performance technique shown in the melody of variations and is connected to natural creation. It is well shown in Huimun and Jeonpyehuimun. Magnificent beauty is well shown in the melody of Botaepyeong movement. And harmonious beauty is the harmonization of dischord in Jongmyojeryeak and is well shown in Jeongdaeup’s Somu distinctively showing its aesthetic sense from the view of natural, harmonious beauty in its music.

한국어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진 종묘제례악의 미의식과 다른 관점에서 여러 사상을 배경으로 완성된 종묘제례악의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미적 요소 를 찾아보고 그에 따른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곳에 제사를 지 내는 것으로, 유교제사 의례의 결정체이자 제례문화의 대표적 문화유산으 로 1964년 국가중요무형문화재(國歌重要無形文化財) 제 1호로 지정되었 다. 또 2001년 5월 18일에는 유네스코(UNESCO)지정 ‘인류구전 및 무형유 산걸작'으로 한국에서는 가장 먼저 등재되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오랜 기간 조선왕조와 명운을 같이한 제례문화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우리조상들에 의해 창조된 악⋅가⋅무에 따른 총체적 예술 형태의 아름다움을 집대성한 우리음악의 정수(精髓)로 인정받으며 전해지 고 있다. 또 유교사상 뿐 아니라, 예악사상을 비롯하여 음양오행사상과 삼 재사상(三才思想), 팔괘사상(八卦思想)의 전통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묘제례악에는 정관미⋅유장미⋅자연미⋅장려미⋅조화미가 내제되어 있다. 정관미는 희문과 전폐희문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유장미 는 정대업에만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자연미는 변주시 선율진행 에서 노련한 연주기교로 자연스런 창작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희문과 전 폐희문에 잘 나타나고 있다. 장려미는 보태평 악장선율의 가장 두드러진 다. 또 조화미는 종묘제례악의 불협화음이 협화로 음악에서 자연스러운 조화미적인 관점의 미의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대업의 소무에 잘 나타나고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종묘제례악의 역사 및 사상적 배경
 Ⅲ. 종묘제례악 선율에 나타난 미의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호 Kim Hyun Ho. 영남대 강사, 경북도립국악단 악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