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무 불만족과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issatisfaction and Creativity

김정훈, 이신자, 백기복, 신제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two primary purposes, firstly to identify how job dissatisfaction and continuance commitment influence to creativity, secondly to explore how coworker helping and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 between interaction of job dissatisfaction and continuance commitment, and creativity.
The first part of the study, based on literature study on creativity, provides insight into what are antecedents and moderate variables in creativity.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a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mpirically tested based on data from 322 employees in Korean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 the following. First, job dis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Second, interaction of job dissatisfaction and continuance commitment does not have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Third, there was not any moderating effects between interaction of job dissatisfaction and continuance commitment,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The last part of this study,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agenda a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고용인들의 직무 불만족과 그들의 창의성이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고용인들은 직무 불만족에 대한 반응으로 4가지의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첫째, 직무와 관련되지 않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주위를 기울이며 자신이 맡은 직무를 전혀 하지 않을 수도 있고(무시), 더 나은 상황에서 일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도 있다.(의사표현). 또 다른 직장을 찾거나 현재 하고 있는 자신의 일을 그만 둘 수도 있고(이탈), 변화와 향상에 대한 노력 없이 조직에 머물러 있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직무 불만족에 대한 고용인의 반응 중에서 의사표현(Voice)이 창의성으로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직무 불만족과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용인의 직무 불만족이 창의성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대한 인지된 조직지원과 동료의 도움과 지원을 고용인이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사표현이라는 것은 고용인이 조직을 이탈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지속적 몰입과도 관련이 있음을 이론적으로 밝혀 보았다.
문헌 검증을 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직무 불만족과 창의성은 매우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 불만족과 지속적 몰입과의 상호작용이 창의성과 유의한 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그리고 직무 불만조고가 지속적 몰입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창의성에 대한 인지된 조직지원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또 직무 불만족과 지속적 몰입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동료의 도움과 지원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 역시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많은 가설들이 지지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1. 직무 불만족의 반응
  2. 직무불만족, 조직몰입 및 창의성
  3. 창의성에 대한 인지된 조직지원(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r Creativity)
  4. 창의성 및 동료의 도움과 지원(Coworker Helping and Support)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
  2. 측정변수
 Ⅳ. 연구결과
  1. 요인분석 결과
  2.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3.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훈 Kim, Jung-Hoon. (주)BNP 그룹 대표이사
  • 이신자 Lee, Shin-Ja. (주)BNP 그룹 연구원
  • 백기복 Baik, Ki-Bok.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신제구 Shin, Jae-Goo. (주)크레듀 연구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