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generational Perceptions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이장익, 이명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suming the universality of generational differenc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nalytical understandings of intergenerational perceptions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ers proposed three generation groups; baby-boomer(between the age of 41 and 50), X-generation(31 to 40 of age), and N generation(under 30).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to measure intergenrational perceptions among and between these three generational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72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33 different schools.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milarity rather than differences were more salient between generational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older baby boomer- generation especial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toward individualistic value rather than group value which differs from other studies from business sector. Second, the study found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intergenerational percep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 more detailed work-performance contexts. This study measured generational differences in 12 detailed work situations and 8 items out of 12 total measur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Finally,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 source and response strategies for conflict situations among and between gener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N- generation do not distinguish between X and baby boomer generations while X and baby boomer generations perceive other two generational groups differently. The authors suggested a further research agenda for examining this universal phenomenon called generational differences in school context.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교직에 대한 기본적 가치관과 업무수행영역에 대한 세대별 상호인식도와 세대간 갈등에 대한 상호인식도를 분석하여 현직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 교관리방안의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조사연구는 경기도 남부지역 초등학교 33개교의 교원 73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연령 기 준에 의하여 베이비부머(41~50세), X세대(31-40세), 그리고 N세대(30세 이하)로 분류되어 문항 별 분석이 시도되었다. 조사결과 초등학교 교원은 교직 및 업무수행에 대한 기본적 가치관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N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높은 개인주의적, 성과주의적 경향성을 보여주 었다. 그러나 교직관 및 학교의 업무수행에 대한 가치관에 있어서 세대 간 차별성보다는 동 질성이 높게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인 업무수행영역에 대한 조사에서는 세대별 차이가 더 강하게 나타났는데 업무 처리 방식 등 12개 문항에서 8개의 세대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어서 동일 문항에 대한 세대간 상호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베이비부머와 X세대는 각기 다른 두 세대를 변별적으 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N세대는 베이비부머와 X세대를 동일시하고 있는 경향성을 보여주었 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원이 인식하는 세대 간 갈등에 대한 조사결과는 대체로 교원 집단내 세대갈등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내 갈등요인에 대한 인식도 또한 세대 간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갈등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은 세대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N세대가 베 이비부머 및 X세대보다 적극적 투쟁방안을 높게 선택하고 있는 반면 베이비부머 세대는 X세대 및 N세대에 비교하여 수용적 갈등대응방안을 더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세대의 개념과 구분
  2. 세대별 특성에 대한 관점
  3. 교육현장에서의 세대 간 연구
 Ⅲ.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3. 분석절차
 Ⅳ. 결과 분석
  1. 교직업무 및 교직관에 대한 초등교원의 세대별 인식도
  2. 초등교원의 세대별 상호인식도에 대한 조사결과
  3. 초등교원이 인식한 세대 갈등과 상호인식도 조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장익 Lee, Jang-Ik. 아주대학교 부교수
  • 이명신 Lee, Myung-Shin. 아주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