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밀의 ‘知’ 사상의 문헌적 기원과 사상적 전개 -寂知의 體用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Philological origination and idealogical development of Zongmi's theory of awareness : Focused on essence-function paradigm of tranquility-awareness

종밀의 ‘지’ 사상의 문헌적 기원과 사상적 전개 -적지의 체용관을 중심으로

박인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ong-mi considered principle theory of Ho-ze-zong (荷澤宗) as awareness (知) that is originated not from Shen-hui's document, but from Cheng-guan's. Cheng-guan defined awareness of Hua-yan Sutrā (華嚴經) as essence of mind (心體) by using 'essence-function paradigm of tranquility-awareness (寂知的體用觀)' of Master Shui-nan (水南善知識). After Cheng-guan, this paradigm and the phrase of 'the single word awareness is gate to enter all mysteries (知之一字衆妙之門)' are positively accepted by Zong-mi, and specially this paradigm take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true mind (眞心) in Zong-mi's system. Meanwhile, in Shen-hui's system, we can find 'essence-function paradigm of samādhi-prajñā (定慧的體用觀)' different from that of Cheng-guan's document. Thus Shen-hui's paradigm is transformed into that of Cheng-guan's. Zong-mi based upon that paradigm and defined awareness not as 'knowing' that depends on objects, but as 'awareness' that true mind is naturally equipped with.

한국어

종밀이 하택종의 중심사상을 ‘知’로 파악하는 데 실질적인 영향을 끼친 사상은 신회의 문헌이 아닌 징관의 문헌에서 기원하고 있다. 징관은 水南善知識의 ‘寂知의 體用觀’을 활용하여 『화엄경』에 나오는 知를 心體로 해석한다. 이후 ‘寂知의 體用觀’은 징관의 문헌에 함께 나오는 ‘知之一字衆妙之門’의 기치와 더불어 종밀에게 적극적으로 수용되는데, 특히 寂知의 體用觀은 종밀의 체계에 있어 眞心의 體用을 설명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신회에게 있어서는 寂知의 體用觀이 아닌 定慧의 體用觀이 보인다. 그러므로 신회의 定慧의 體用觀은 징관의 문헌 속에서 寂知의 體用觀으로 변모하게 되고, 종밀은 이에 기반하여 知를 대상에 의존해서 생기는 분별지가 아닌 진심이 본래부터 지닌 지각능력을 나타내는 용어로 정립하게 되는 것이다.

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종밀이 인용하는 知之一字衆妙之門의 맥락
 Ⅲ. 신회의 문헌에 나타난定慧의 體用觀과 自然智의 성격
 Ⅳ. 징관의 문헌에 나타난 寂知의 體用觀
  1. ‘知가 곧 心體’인 근거: 寂知의 體用觀
  2. 水南善知識과 하택신회
 Ⅴ. 종밀의 사상에 나타난 寂知의 體用觀
 Ⅵ. 맺음말
 국문요약문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인석 Park, Inn-Suk.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