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의례서 『中禮文』의 板本考

원문정보

A Study on Publication of Buddhist Ritual Manual Ch'ŏnji myŏngyang suryuk chae'ŭi chanyo(Jungryemun)

불교의례서 『중례문』의 판본고

송일기, 한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ted books of Ch'ŏnji myŏngyang suryuk chae'ŭi chanyo(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 Jungryemun(中禮文) for short - was published in Joseon dynasty. Jungryemun is the ritual manual for Shuilu that Buddhist rite for deliverance of creatures of water and land.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ere are 36 printed books in the Republic of Korea. Analysis showed that a profusion of the books had published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especially in Jeollado. The other hand, the publication prospered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the late 17th century in Gyeongsangdo. Physical description was analyzed that Jungryemun usually have 7lines 17ideography, except 2 editions that has 8lines 14ideography. Generally, physical description was not diverse, because the liturgy aim at perfect sameness. Stand on physical description, the origin of the edition of 7lines 17ideography is published by royal. The books that was printed in Buddhist temples have the information about partic- ipants. The participants was classified under three heads that vocational technicians, supporters and donators.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중례문󰡕의 판본에 관한 연구이다. 󰡔중례문󰡕의 판본을 조사한 결과 총 36종의 판본이 현전하고 있었다. 판본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판본에 기록된 참여자를 기능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6~17세기 특히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중례문󰡕의 간행이 성행하였다.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전반에는 전라도 지역에 간행이 집중된 반면, 16세기 전반과 17세기 후반에는 경상도 지역에서 간행이 활발히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변란과 행자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사주단변과 7행17자의 판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흑구와 어미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3종의 판본에서 흑구를 발견하였다. 흑구는 대부분 내향흑어미와 한 쌍으로 나타났으며, 흑어미와 화문어미를 혼용한 경우도 볼 수 있었다. 판식은 대체적으로 다양하지 않았는데, 이는 형태나 내용의 변화를 최소화 하기위한 의례서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7행17자본은 왕실에서 간행된 판본을 복각하거나 재간행한 것으로 왕실본이 󰡔중례문󰡕 판본의 대체적인 모본(母本)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간행참여자를 기능자, 조연자, 시주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기능자는 다시 각수(刻手), 연판(鍊板), 서사(書寫) 및 교정(校正)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조연자는 간선화주(幹善化主), 공양주(供養主), 삼강(三綱), 지사(知事) 및 지전(知殿)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시주자는 승시주(僧施主)와 민간시주(民間施主)로 구분하였다. 󰡔중례문󰡕 간행에 참여한 인물은 중복된 인물을 포함하여 총 1,281명이며, 가장 많은 참여자를 보이는 판본은 1538년 광흥사본으로 총 132명이 참여하여 규모가 상당히 큰 불사(佛事)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중례문』의 판본 현황
 3. 『중례문』개판의 유형별 분석
  3.1 지역별 분석
  3.2 시기별 분석
  3.3 판식의 특징 분석
 4. 간행 참여자 분석
  4.1 기능자(技能者)
  4.2 조연자(助緣者)
  4.3 시주자(施主者)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저자정보

  • 송일기 Song, Il-Gie.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한지희 Han, Jihee.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전문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