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영화 원작과 할리우드 리메이크작에 나타난 색채비교 분석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 on the Korean Original Movie & Remake of the Hollywood Movie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years, many Korean films advance into overseas market. Lim Gwon-taek won the best director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in 2002 and Park Chan-wook won the jury prize for his film in 2004. Also, , , , was remake in Hollywood. World's interest in Korean films is rising. Especially was ranked three at a box-office grades in Hollywood. Therefore, I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he color of symbolism about . The movies express hopes and fears, love and parting and life and death through the colors. The symbolism has a strong effect as a important allegory on the movies. Both two movies was used red and green colors for fear. Also, two movies show us conflict among characters through the colors of Symbolism on the clothes, props and the space. was keep colors within the fixed range of colors. It was easy to distinguish of things by using the colors from light colors to dark colors. On the other hand was so dark that we couldn't distinguish images from the things.

한국어

최근 들어 한국 영화의 세계적인 진출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2002년 <취화선>의 임권택 감독이 국제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2004년에는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가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시월애>, <거울 속으로>, <엽기적인 그녀>, <장화, 홍련>이 각각 <레이크하우스>, <미러>, <마이 세시 걸>, <언인바이티드>로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 되는 등 세계의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장화, 홍련>은 국내는 물론이며 리메이크작인<언인바이티드>또한 헐리우드에서 박스 오피스 3위를 차지하는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영화인 <장화, 홍련>과 리메이크작인<언인바이티드>에 나타난 색채를 상징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영화에서의 색채는 희망과 절망, 사랑과 이별, 그리고 삶과 죽음을 표현하며 색의 상징성은 영화의 적재적소에 신중하게 도입되고 있다. 각각의 색이 내포하고 있는 상징적인 대화가 영화에서는 매우 중요한 알레고리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두 영화에 모두 등장한 붉은색과 녹색에 있어서는 두 영화 모두 ‘공포’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인물들의 의상과 소품, 공간을 통해 인물의 감정 상태를 색채가 가진 상징성을 통해 표현하였으며 인물간의 갈등 구조역시 색채를 이용하여 드러내고 있었다. 전체적인 색채 사용에 있어서 <언인바이티드>는 색채사용 영역이 대체적으로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고명도와 저명도의 색채를 동시에 사용하여 화면상에 비춰진 사물의 식별이 용이하였다. 반면에 <장화, 홍련>은 색채 사용영역이 각각의 장면마다 달랐으며 대체적으로 저명도의 색이 빈번하게 사용되어 사물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색채의 연상과 상징
  2.2. 영화의 색채이미지
 3. 한국영화와 할리우드 영화의 색채 활용
  3.1. 한국영화의 색채 활용
  3.2. 할리우드 영화의 색채 활용
 4. 장화홍련과 언인바이티드의 비교분석
  4.1. 특정 색의 상징성 활용
  4.2. 의상에 나타난 색채
  4.3. 소품에 나타난 색채
  4.4. 공간에 나타난 색채
 5. 결론 및 향후 과제
  5.1. 결론
  5.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현주 Lee, Hyun Ju. 삼육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