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외직접투자 실태에 관한 한ㆍ일 비교 연구 ―동남아 5개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on Actual Conditio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정수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s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became active in the 1990s in an attempt to cope with globalization trends and to promote corporate competitiveness by localization and moving production facilities to overseas countries. Since 1968 when FDI began for the first time, the amount of net investment exceeded 1 billion dollars in 1990. Afterward, the net investment reached over 5 billion and 10 billion dollars in 2000 and 2006, respectively. In 2007, the net investment of FDI amounted to 21.4 billion dollars, which was equal to 84.2%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2008, it recorded 22.9 billion dollars and two consecutive years of over 20 billion dollars since 2007, but in 2009, for the first time since 2002, FDI fell down to 19.4 billion dollars, or 15.1% year-to-year decrease, as a result of global financial crisis. Meanwhile, Japanese FDI moves have cashed in on the Plaza Accord signed in 1985 and resulting dramatically strong Yen, which has led to a burden on Japanese export and a stronger Yen-based buying power. To lessen trade friction and surplus against several countries including the U.S, localization of production and sales has been activated, resulting in substantial growth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Breaking away from its initial focus of FDI on America and Europe, Japan has turned to Asian nations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In 2008, Japanese FDI reached its historic peak up to 13.2 trillion Yen, or 53% year-to-year increase. World economy, however, undergoes changes and market opening, leading each nation's FDI to assume region-and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in which sens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nations are urgently required to carry out foreign direct investment based on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FDI in Korea and Japan, and conducts comparative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performances surrounding FDI in 5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which both Korea and Japan actively invest.

한국어

한국의 해외직접투자는 1990년대에 들어 국제화 추세에 대응하고 현지화와 해외생산이전 등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재고 시켜나가기 위해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1968년 해외직접투자가 시작된 이래 1990년에 처음으로 순투자금액이 10억달러 이상을 달성하였다. 그 후 2000년에는 50억달러 이상을 달성하였고, 2006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100억달러대에 진입하였다. 2007년에는 전년도보다 84.2%가 증가한 214억달러에 이르렀으며, 2008년에는 229억달러로 2007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200억달러를 상회하였으나, 2009년에는 2002년 이후 처음으로 7년만에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5.1%가 감소한 194억달러가 이루어졌다. 한편, 일본은 1985년 플라자합의에 의한 급격한 엔고현상으로 일본제품의 수출 부담과 엔의 구매력이 높아짐에 따라 해외에 투자하는데 유리해졌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와 무역마찰 및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 현지생산과 판매가 활발하게 진행됨으로서 해외직접투자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당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해외직접투자는 1990년에 들어오면서 과거 아시아지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2008년 일본의 해외직접투자는 최고 금액인 13.2조엔을 달성하여, 전년 대비 53%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세계경제는 변화와 시장개방에 따라 각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지역별 및 업종별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집중과 선택에 의한 해외직접투자를 실행해나갈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과 일본이 활발하게 해외직접투자를 하고 있는 동남아 5개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의 특징과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목차

1. 서론
 2.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2.1 해외직접투자의 구조 변화
  2.2 지역별 추이
  2.3. 업종별 추이
  2.4 기업규모별 추이
 3.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3.1 해외직접투자의 구조 변화
  3.2 지역별 추이
  3.3 업종별 추이
 4. 동남아 5개국의 해외직접투자 비교
  4.1 한국의 동남아 5개국 해외직접투자 특징
  4.2 일본의 동남아 5개국 해외직접투자 특징
  4.3 한ㆍ일 해외직접투자의 경영성과 비교
 5. 결론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정수원 동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