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관광객의 국내 쇼핑관광 패턴 특성 분석 : ‘2009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Features of Japanese Tourists' Shopping Travel Patterns in Korea

이영진, 송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Japanese tourists' shopping travel patterns in Korea. Materials used for analysis were from secondary data of 'Research on the foreign tourists in 2009'. According to the result, women now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ranked first among Japanese shopping tourists and they had highly-paid jobs. In terms of form of travel, around 40% were group tour and 60% were individual or Air-tel travelers. Main shopping items were perfume, cosmetics, groceries, clothes, kimchi and main shopping place was Myungdong. Their complaints while shopping were mostly about guidance such as shortage of signs and poor services of clerks. Shopping was the main factor of impacting overall satisfaction and attraction of the sights had an influence on intention of revisi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managers of tourism businesses or tourist destination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various services, tourist routes and marketing strategies which can attract Japanese Tourists.

한국어

본 연구는 쇼핑을 주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일본 관광객의 쇼핑 패턴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한국관광공사의 ‘2009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2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쇼핑 목적 한국 방문 일본 관광객은 20~30대의 여성 비중이 가장 많았으며 소득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여행 형태는 약 40%가 단체여행객이었고 60%가 개별 및 Air-tel 여행객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쇼핑품목은 향수, 화장품, 식료품, 의류, 김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쇼핑 장소는 명동을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쇼핑 시 불편사항으로 안내표지판 부족과 점원의 불친절 등 안내관련 불만이 많이 제기되었으며, 전반적 만족도에는 쇼핑이, 재방문의도에는 관광지 매력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사업체 및 관광목적지 관리자들로 하여금 쇼핑을 주목적으로 방문하는 일본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와 코스 그리고 마케팅 전략 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쇼핑관광의 특성 및 선행연구 분석
  2.2 방한 일본 관광객의 쇼핑 패턴 특성 및 연구동향
 3. 연구방법 및 설계
  3.1 연구문제 및 설문 문항
  3.2 연구대상 표본추출 및 분석과정
  3.3 분석 대상자의 인구사회통계학적 특성
 4. 분석결과 및 논의
  4.1 일본 관광객의 쇼핑관광 패턴 특성
  4.2 일본 관광객의 쇼핑 형태 특성
  4.3 일본 관광객의 한국여행에 대한 평가
  4.4 전반적 관광만족도 및 재방문의도 영향 변수 분석
  4.5 분석결과 논의 및 프로파일
 5. 결론 및 시사점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이영진 경희대학교
  • 송영민 안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