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沖積地遺蹟의 立地분석과 활용 - 嶺南지방의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Locational Analysis and Use of Alluvial Plain Sites - Focusing on Examples from the Yeongnam area -

충적지유적의 입지분석과 활용 - 영남지방의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

유병록, 이보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urvey of alluvial plains is regarded by Korean archaeologists as one of the more difficult of investigations. It is not much of a problem if archaeological remains are fortunately found at the location. However, if no remains are found at the location, or if the remains are remotely different from what was expected, it is difficult to form an opinion on how to precede with further investigation. Investigations on alluvial plain sites in the Yeongnam area have been carried out from an early date, and such sites are common in the area,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espite this fact, it is true that fate of these sites (i.e. their discovery) has generally been decided according to the judgement of the investor based on his or her intuition or experience, rather than according to certain objective standards which are used everytime alluvial plains are survey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olution to this reality by examining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lluvial plain sites based on excavation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Yeongnam area.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alluvial plain sites spanning from the prehistoric to historic periods were located on natural banks, alluvial fans, valley flatlands, and river terraces. It was estimated that among these locations, natural banks were preferred as the most general location for settlemen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valley flatlands came to be utilized as settlement locations became varied in the historic (Three Kingdoms) period. These settlements usually have tombs around them, so surrounding lands must also be investigated when investigating tombs. This study examined detailed soil maps as a usable resource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sites during field survey. It also considered the potential of identifying patterns of alluvial plain location and looking at diachronic change in settlement position. Finally, the utility of topographic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or GIS, which have gained much attention recently, was also considered. Satisfactory results could not b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long. However, it was at least possible to confirm the various positions of alluvial plain sites.

한국어

영남지방은 타 지방에 비해 충적지유적의 조사가 일찍부터 이루어져왔고, 또한 양적 으로나 질적으로 압도할 정도로 일상화된 곳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타 지방보다 뛰어난 조사 기술을 가졌거나 유물이 많이 확인되어서가 아니었다. 대부분 어떤 객관적인 기준이 아닌 조사자의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한 판단에 의해 그 유적의 운명이 결정되었던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현실이 여전한 지금, 향후 보다 근거 있고 신뢰성 있는 조사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반도에서 압도적으로 충적지유적조사가 이루어진 영남지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적의 입지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상이 된 유적들은 대개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지만 조사자의 지형을 고려한 판단과 일부 출토된 유물로서 추가조사가 이루어져 유적이 확인된 경우이다. 그 결과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에 이르는 충적지유적들은 크게 자연제방, 선상지, 곡간평지, 하안단구 등에서 확인되며 이들 중 자연제방은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 까지 가장 일반적인 취락입지로 선호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역사(삼국)시대에 오면 취락 입지가 다양해지면서 곡저평지도 이용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구나 이 취락들은 주변에 고분군을 끼고 있는 경우가 많아 향후 고분군 조사시 주변 低地에 대한 관심도 함께 가져야 함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에 따른 취락입지의 변화나 충적지 입지에 대한 유형화와 실제 현장조사시 유적의 추정근거로서 활용가능여부로서 정밀토양도와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한 지형환경분석이나 GIS분석, 여기에 육안확인이 가능한 지석묘나 고분군을 통한 인문환경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었다. 무엇보다 지표조사가 유적의 운명을 결정짓는 만큼 지표조사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항목과 그 절차를 통해 객관적인 유적의 판단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충적지 유적의 존재를 판단할 여러 방법들이 100%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가 없었지만, 적어도 현재까진 기존 조사된 다양한 충적지의 입지유형과 사례를 통해 유사한 충적지조사시 유적으로 판정하는데 객관적인 자료로서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충적지유적 조사현황
  1. 경기·호서지방
  2. 강원지방
  3. 호남지방
  4. 영남지방
 Ⅲ. 영남지방 충적지유적 입지분석
  1. 충적지유적 입지의 유형화
  2. 지형입지별 유적분류와 특징
 Ⅳ. 충적지에서의 유적 추정 방안 모색
  1. 精密土壤圖
  2. 地形環境分析
  3. GIS
  4. 인문환경
  5. 충적지 조사에서의 활용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병록 Byoung-rok Yu. (재)우리문화재연구원 기획연구부 부장
  • 이보경 Bo-kyoung Lee. (재)우리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부 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