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징주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실체 - 랭보의 ‘깜짝 놀란 아이들’시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Illustration of symbolism made reality - Rimbaudʼs `Les effares' around poem word-

이고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intend to examine various symbolic meanings appeared in Rimbaud's poetry completed by power of imagination,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o modern people and seek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Happiness' and 'unhappiness' felt by poets gives inspiration to the creation of works and reborn by being fused with subjective imagination. Miserable appearance and tormented inner reflection of children soaked in virtual euphoria in miserable reality have been visualized. The forms appeared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is not the reproduction of realistic subject but the symbolic form created by subjective imagination with the image of Rimbaud's poetry as motif.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erritory of an artist as visual designer who requires infinite imagination and creativeness, the poetic imagination of Rimbaud was assimilated in the heart of the researcher of a paper and gave an opportunity for the various visual expressions and self-reflection on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한국어

내적 상상력의 힘으로 완성한 랭보의 시속에 나 타난 여러 상징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인의 자 아성찰의 기회를 마련하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 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인이 느끼는 ‘행복’과 ‘불행’은 연구자의 작품 창작에 영감을 주며 주관적 상상력과 융합되어 새롭 게 재탄생 되었다. 불행한 현실 속에 가상의 행복감에 젖어 있는 아 이들의 안타까운 모습과 괴로워하는 내면상태의 시 각화를 모색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형태는 현실적 대상의 재현이 아닌 랭보 시속에 나타난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주관적 상상력이 만들어낸 상징적 형태이다. 무 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요구되는 시각디자이너로서 의 작가적 영역을 구축해 나가는데 랭보의 시적 상 상력은 논문 연구자의 마음에 동화되어 다양한 시각 표현의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인간 존재의 본질을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내용 및 방법
 2.상징주의의 이해와 분석
  2.1. 상징주의의 시대적 배경
  2.2 상징주의의 특징
 3. 랭보시의 이해
  3.1 성장과정과 인격형성
  3.2. ‘깜짝 놀란 아이들“의 상징성 분석
 4. 놀란 아이들의 시각화
  4.1.작품표현 의도
  4.2. 작품 표현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고은 Lee, Goeun.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