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원영동지역 산간마을의 길 체계와 농가의 배치 특성 분석

원문정보

The Feature Analysis about the Layout of Farmhouse and Road Organization of the Mountain Villages in Gangwon Youngdong Province

조방현, 최장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eats the analysis of the layout of farmhouses and road organization of mountain village in Gangwon Youngdong province. So this study is aimed at grasping how the road organization and farmhouse layout about mountain villages were composed wi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road to enter farmhouse is short because of the narrow ravine. So that it is formed and faced main road of village. And it is formed a stalklike type of a bunch of grapes. · The direction of a farmhouse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a farmhouse entry because the direction of a farmhouse is prior to the direction of a farmhouse entry. · The farmhouses are scattered because of being short of farmhouse and farmland in the distance, being a small number of it and being distributed farmland to follow road to be located at narrow ravine. · The layout type of farmhouses has a tendency to be transformed from ㅡ type to ㄱ type at Jugiri mountain village and from ㄱ type to scattered type by various storages at Jungsan and Fimil mountain village.

한국어

본 연구는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꾸준히 변화되어온 강원영동지역 산간마을을 대상으로 마을을 구성하는 길과 각 단위 농가와의 공간체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산간마을은 큰길에서 분기된 안길을 따라 몇 km씩 들어가서야 형성된 마을이다 보니 낙후된 마을이 많으며, 안길에서 주거로 진입하는 샛길도 길이가 짧거나 없는 경우도 많아 주거지가 안길에 바로 면해 형성되고 그 뒤로 경작지가 있다. 2)산간마을은 小谷地에 위치하여 안길과 개울을 따라서 농지가 분포하는 관계로 농경지와의 거리를 적게 하고자 농가 배치가 집단적 모듬살이이면서도 호수규모가 적어 분산적이다. 이것은 인력과 축력에 의한 영농방식으로는 경작거리가 짧아야 하기 때문에 농가가 자연히 분산되어 소규모 마을을 형성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다. 3)산간마을은 지형의 특성상 마을의 도로가 개천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대지 내에서 살림채의 향에 대한 요구와 길의 진입체계로 인한 진입향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지형에 따라 주택을 배치하기보다는 안길에서 들어오는 샛길을 우회시켜서라도 진입향보다는 좌향을 우선시 하는 배치를 취하였다. 이에 따라 진입향도 살림채의 정면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측면에서 진입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4)산간마을에 있어서 안길이 마을중심도로 역할을 할 경우 마을 중심을 흐르는 개울과 개울을 따라 발달된 안길을 중심으로 각 농가가 배치되어 성김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샛길은 꼭지형을 하고 있다. 5)배치유형은 당초 一자형과 ㄱ자형이 일반적인데, 증개축시에 二자형과 ㄷ자형, ㅁ자형으로 규모가 확대 증축되는 일정한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일정한 형식이 없이 농가주변에 부속사를 분산 배치하는 형태로 농가의 규모가 커져왔음을 보여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
 2. 대상마을 개요
  2.1 주지리 마을
  2.2 정산ㆍ피밀마을
 3. 마을의 공간구성
  3.1 길의 체계에 따른 공간구성
  3.2 길과 농가와의 공간구성
 4. 채의 배치 특성
  4.1 채와 농경지와의 관계
  4.2 채의 좌향과 진입향
  4.3 채의 배치 유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방현 Cho, Bang-Hyun. 강원대학교 공학대학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최장순 Choi, Jang-Soon. 강원대학교 공학대학 건축학과 부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