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사

영화신체제 전환기 조선영화의 이정표: <반도의 봄>에 드러나는 조선-일본-서구의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Milestone of Chosun Film at the Turning Point into New Film System-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Chosun, Japan and the West revealed in the film Spring of Korean Peninsular

이용관, 이지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o-Japanese films in the former half of 1940’s has been discussed as a bipartite relationship in the colonial power mechanics between ‘Chosun’ and ‘Japan’ up to date. It is because that pro~Japanese films were under the stream that Japan reorganized Chosun films ‘product system extensively with being plunged into war structure (from Chinese-Japanese War to Pacific War). However, Spring of Korean Peninsular made in 1941 raises a question about that the b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is enough to explain pro-Japanese films. Spring of Korean Peninsular presents a new milestone of Chosun film at the turning point into New Film System in around 1940. This film shows concern about Chosun-films and interferes the 3rd member ‘the West’ in the network between Chosun and Japan. Spring of Korean Peninsular named Japan as plenty of cultural source, otherwise Chosun making Chunhyang jeon as inferior to Japan in culture and economy. On the b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Japan like above, Spring of Korean Peninsular is finding the wa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making the film Chunhyang jeon from New Film System proposed by Governor-General of Korea. Meanwhile, ‘the West’ as the 3rd member was brought in the b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Japan by exposing the western films’ posters repeatedly in the film Spring of Korean Peninsular. The western films’ posters namely the 3rd member ‘the West’ works as eventual ideal and constructive coordinate of Chosun films meeting the turning point called New Film System. But Spring of Korean Peninsular shows understanding of a tr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Japan and the West as three-cornered dynamics relation. Spring of Korean Peninsular establishes dynamics of three members as ‘Chosun<Japan<Europe’ in the level of artistic value and superiority, and emphasizes that Chosun films get prospect of advanced skill and reasonable product system with New Film System which Japan proposed, and it will take Chosun films to the superior artistic as like European films. However, three- cornered dynamics relation inherent in Spring of Korean Peninsular has resulted from imitating colonial perspectives of Japanese Imperialism.

한국어

지금까지 1940년대 초․중반의 조선영화는 식민지 역학 안에서 조선과 일본의 이자 관계로 논의되어왔다. 이는 이 시기 일본이 전시체제에 돌입함으로써 조선영화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체제 개편을 감행한 흐름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41년 제작된 영화 <반도의 봄>은 조선의 친일 프로파간다 영화가 조선과 일본의 이자 관계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반도의 봄>은 일본과의 관계망 안에서 조선영화를 고민하는 동시에 서구라는 제3의 항을 개입시킴으로서, 1940년 전후 영화신체제 전환기에 위치한 조선영화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안한다. 먼저 <반도의 봄>은 일본(동경)을 문화적 풍토와 자양분이 풍부한 곳으로 호명하는 반면, 영화 ‘춘향전’을 제작하는 조선(반도)은 문화적․경제적으로 열등한 곳으로 호명한다. <반도의 봄>은 조선과 일본의 이 같은 이자 관계를 통해, 영화 ‘춘향전’ 제작을 둘러싼 난관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총독부가 제안한 영화신체제에서 찾고 있다. 한편 <반도의 봄>은 영화 속에서 서양영화 포스터들을 반복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조선과 일본의 이자 관계 사이에 서구라는 제3의 항을 개입시킨다. 서양영화 포스터, 즉 서구라는 항은 예술성을 보증하는 항으로서, 영화신체제라는 전환기를 맞이한 조선영화의 궁극적 이상이자 건설적 좌표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반도의 봄>은 조선-일본-서구의 관계를 삼각 역학 관계로 바라본다. <반도의 봄>은 위 세 항을 영화의 예술성과 우수성의 차원에서 ‘조선<일본<유럽’의 삼각 역학 관계로 설정하고, 조선영화가 일본 제국이 제안한 영화신체제를 맞아 진보한 기술력과 합리적 제작 시스템을 전망할 수 있게 되었음을, 그리고 이를 토대로 유럽영화과 같이 예술적 우수성을 지닌 영화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음을 역설한다. 그러나 <반도의 봄>의 삼각 역학 관계는 사회진화론적 논리와 일맥상통함으로써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주의적 시각을 모방한 결과이기도 하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춘향전’과 조선영화
 3. 영화신체제를 통해 모색하는 새로운 조선영화 : 조선의 문화적 불모성에 대비되는 일본의 풍부한 문화적 자양분
 4. 전환기에 선 조선영화의 새로운 이정표 : 조선영화의 비교항으로 전시되는 서양영화 포스터
 5. 조선-일본-서구의 삼각 역학 관계에서 인식되는 영화 신체제와 조선영화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관 Lee, Yong-kwan.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교수
  • 이지윤 Lee, Ji-youn.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