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애니메이션 이론 · 분석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두려운 낯설음’에 관한 연구 :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앨리스>와 <오테사네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ncanny’ in Objet Animation -Focused on <Alice>, <Little Ottik> of Jan Svankmajer-

조미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dy on the ‘Uncanny’ in Objet Animation -Focused on , of Jan Svankmajer- Cho, Mi-ra lecturer, Catholic University Objet animation triggers aesthetic emotion, namely, ‘uncanny’ which can be hardly found in animation with different techniques. This paper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uncanny and aesthetic emotion which are discovered in objet ani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esthetic functions of the ‘uncanny’ in objet anim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bjet animation has an aesthetic function that reminds one of a basic root while refusing an institutionalized sense by creating things that were driven off to a place outside rationality seem to be touched, tasted, and imagin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Second, ‘uncanny’ stems from something that can’t be judged rationally, as well as from otherness and disparate things. Those objects are unfamiliar, but they are beautiful, disparate yet attractive, and disgusting, yet make one desire to touch them. What makes such objects be related to the subject while admitting their originality in a not violent way may be a reasoning that is posed on spectators through no other than the emotion of uncanny. ‘Uncanny’ in objet animation would be undeniably different from an emotion one feels when witnessing a certain illusion. That is a kind of wonder which comes from the discovery of ‘wonderful reality’ which we tried to suppress and hide behind us, and yet, exists undoubtedly. Therefore, uncanny in objet 255 animation may be to impact manneristic thinking and, simultaneously, unearth hidden ‘wonderful reality’ by gazing at age old things with new eyes.

한국어

오브제 애니메이션은 다른 기법의 애니메이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두려운 낯 설음’이라는 미학적 정서를 유발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앨리스>와 <오테사네크>를 중심으로 오브제 애니메이션에서 발견되는 두려운 낯 설음의 특징과 미학적 정서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오브제 애니메이 션의 ‘두려운 낯설음’의 미적 기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오브제 애니메이션은 인간의 문명사라는 과정을 거쳐서 합리성 밖으로 내 몰린 것들을 만지고, 맛보고, 상상하게 함으로써 제도화된 감각을 거부하고 원초적 인 근원을 회상시키는 미적 기능을 갖는다. 둘째, ‘두려운 낯설음’은 이성적으로 판 단할 수 없는 것, 타자성, 이질적인 것에서 오는 정서이다. 그 대상들은 낯설지만 아름답고, 이질적이지만 매혹적이고, 혐오스럽지만 만지고 싶고 대상들이다. 그 매 혹적인 대상(객체)들을 폭력적이지 않는 방식으로 그것이 지니고 있는 고유성을 인 정해주면서 주체와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두려운 낯설음의 정 서를 통해 관객에게 던지는 사유방식이다. 오브제 애니메이션에서의 ‘두려운 낯설음’이란 어떤 환상을 목격했을 때의 정서 와는 분명 다른 종류의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억압하고 뒤로 감추려고 했던, 그러 나 분명 존재하는 ‘경이로운 현실’의 발견에서 오는 일종의 놀라움이다. 따라서 오 브제 애니메이션에서의 두려운 낯설음이란 해묵은 것들을 새롭게 응시함으로써 타 성에 젖은 사고에 충격을 주고, 동시에 감춰진 ‘경이로운 현실’을 드러내는 일이다.

목차

1. 서론
 2. 병적 혐오감의 사물들, 만지고 먹고 상상하기
 3. 사유의 정지, 대상 자체에 대한 사유
 4. 결론 : 이상한 나라, 경이로운 현실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미라 Cho, Mi-ra. 가톨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