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퀴어 정치학과 영화적 재현의 문제: <지상만가>(김희철, 1997)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Queer Politics and Problem of Cinematic Representation: Focusing on Lament (Kim Hee-Chul, 1997)

주유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triarchal or conservative sexual ideology has never been profoundly and thoroughly criticized in South Korea. Moreover, homosexuals or homosexuality itself has been marginalized and restricted just as the ambiguous symbol and caricaturized stereotype by heterosexism in the sexual representation of South Korean cinema. With the formation of the new inter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politics and queer politics, we need to critically rethink and examine the diverse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ideology inherent within them in terms with the problematic and debates of both politics. For along with feminist interventions, analysis and criticism with a perspective of queer politics reveal and challenge the defectiveness and falsehood that dominant conservative ideology and practices in the society have produced. As homosexual identity significantly unsettles the polarized gender binarism through the reverse gender identity-for example ‘the feminine in men’ and ‘the masculine in women’, the homosexual eroticism challenges the notion that sexual activity is closely related with gender identity. With an enhancement of women’s sexual autonomy, both female and male homosexuality pioneers and procures new sexual territories against the sexual conservatism and authenticism. In this essay, I will thus examine the theoretical premises of queer politics and their representational articulations in terms with a theory of sexuality and critically retrace the process of historical emergence of ‘New queer cinema’ since the 1990s. Lastly, I will try a queer criticism on a South Korean film loca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drastically different from the dominant sexual ideology.

한국어

한국 사회는 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물론이고 특히 극도로 보수적인 다양한 성이데올로기들조차 제대로 비판의 도마에 올라본 적이 없는 사회이다. 더구나 한 국 영화의 성적 재현 속에서 동성애자나 동성애 성애 자체는 이성애중심주의로 인 해 단지 모호한 상징이나 희화화된 스테레오타입으로 주변화되거나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현실은 페미니즘 정치학과 퀴어 정치학의 상호 관계를 새롭게 고민하면 서, 양자의 문제틀과 논쟁점들을 현재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재현물들과 그 안의 이데올로기들에 비판적으로 적용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다소 섣부르거나 그 결과 관념론적인 한계를 띠게 될 가능성도 있지만, 퀴어 정치학을 전망으로 삼아서 이루어지는 분석과 비평은 페미니즘적 개입과 더불어,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보수 적 이데올로기와 실천들이 지닌 불완전성과 허구성에 대한 도전과 폭로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근본적으로 동성애자 정체성은 ‘남성 안의 여성성’, ‘여성 안의 남성성’과 같은 전도된 젠더 정체성을 통해서 양극화된 젠더 이분법을 동요시키는 의미를 갖는다 면, 동성애 성애는 성 행위가 젠더 정체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통념에 도 전하게 된다. 또한 여성의 성적 자율성이 고양된 것과 더불어 여성과 남성 동성애 모두는 성적으로 정통적인 것 그리고 성적 보수주의에 대하여 새로운 성적 영역을 확보하고 개척해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섹슈얼리티 이론을 중심으로 퀴어 정치학을 둘러산 제반 쟁 점들을 살펴본 후에, 1990년대 이후 전개된 ‘뉴퀴어 시네마’의 역사적 등장 과정을 비판적으로 되짚어보고 나서, 마지막으로는 전혀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에 위치한 한국 영화 한 편에 대한 퀴어 비평의 가능성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지금 왜 퀴어 비평이 필요한가?
 2. 퀴어 정치학
 3. 할리우드 영화와 동성애 섹슈얼리티의 재현
 4. 한국영화에 대한 퀴어 비평의 가능성:<지상만가>를 중심으로
 5. 성적 재현에 있어서 한국 영화의 탈영토화를 기대하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주유신 Joo, You-shin. 영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