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는 영화다>, 혹은 영화 존재론의 변천에 관한 보고

원문정보

Rough Cut, or a Report on the Ontological Vicissitude of Cinema

김소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hard to presume Rough Cut as a film with many sophisticated philosophical thoughts as long as you only have a brief look at its simple title and its poster showing off the typical fighting scene of action genre movie. However, once you have a chance to see the whole film, you might be amazed by its serious subject-matter underneath. I read Rough Cut as having an impressive approach to articulating the long history of the ontology of cinema, being unpacked with the two perspectives of the main actors, one of which is Lee Gangpae, who has once dreamed of becoming a film actor, but ended up as a no. 2 gang, and the other Jang Suta who is now a famous action star, but has been involved in some violence cases from time to time. The film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one, speaking for Ganpae’s point of view at the outset, follows Plato’s perspective faithfully. In short, as far as imitation is inferior to the real (or reality), acting performance, which is supposed to be a fake and mimicry, is invaluable. However, Suta’s view is different in the second part where Suta opposes to Gangpae while filming as actors together. As the classical film theories shared the perspective of which film is not just a collection of representations but of creation, focusing on the role of director as a creator, Suta disregards Ganpae as not recognizing the difference of film (fiction) and reality. According to Suta, you should know how to film and perform adjusted to the filmmaking system. In the meantime, Ganpae and Suta seem to b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these blending moments construct the third part. The accepting gestures were possible since the notion of reality as the referent or the epistemological base for fiction had been subverted. And this subversion, meaning that fiction does not imitate reality but produce it, was the common perspective in Derrida, Deleuze, and Baudrillard, so-called the postmodernist philosophers. Yet, the finest in this film is not that it ends when the conflict between two main characters turns out to b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make a compromise with each other, but that it suddenly goes further to the new phase claiming that film is definitely fictive but also real thanks to the very fictiveness, which sounds truly Lacanian. In that manner, Rough Cut turns the gangster Ganpae to a generically preferred anti-hero who cannot be saved in the social reality for good, or in the Lacanian terms, “the gaze of the real” which is (im)possible to be identified. And besides, with its last scene where all the narrative hitherto developed is framed in another screen and the spatial or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narrative reality and the spectators’ reality is removed, the film advises the spectators to see the film as ‘the gaze itself’, the representation of trauma. In that sense, Rough Cut seems to be a rarely philosophical film questioning the ontology of cinema in disguise of a commonplace action genre film.

한국어

<영화는 영화다>라는 단순한 제목과 액션 장르 영화다운 홍보물을 보면서 이 영화를 어떤 복잡한 철학적 사유의 결과물이라고 추론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이 영화를 보고 나면 그 안에 담겨 있는 꽤 진지한 문제의식에 감탄하게 된다. 이 영 화는 한때 영화배우를 꿈꾸었던 조폭 중간 보스 이강패와 잦은 폭력 시비로 물의 를 빚고 있는 깡패 같은 영화배우 장수타를 내세워 영화의 존재론에 관한 기나긴 역사를 짚어나가는 영화로 읽히기 때문이다. 영화는 그 문제틀의 유형에 따라 크게 세 단락으로 나뉜다. 이강패의 초기 입장 을 대변하는 첫 단락은 온전히 플라톤적인 관점을 따르고 있다. 한 마디로 모방은 실재보다 열등한 것이며 따라서 연기는 가짜고 흉내이므로 무가치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두 번째 단락을 구성하면서 이강패에게 대응하는 장수타의 입장은 그와 다 르다. 고전기 영화이론들이 영화는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창조의 산물이라는 입장 을 공유하면서 창작자로서의 감독의 역할을 중시했듯이, 장수타도 영화와 진짜(현 실)를 구분할 줄 모르는 이강패를 비웃는다. 요컨대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영화 를 찍는 방식을 알고 그것에 맞춰 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의 세 번째 단락에 와서 두 주인공은 앞에서의 입장을 벗어나 상대가 주장하던 것을 수 용하는 제스처를 보인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허구의 지시대상 혹은 인식론적 기 반으로서의 객관적 현실이라는 통념이 이 단락에 와서 전복되었기 때문이다. 그리 고 허구가 현실의 모방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이 허구에 의해 생산된다는 것은 데 리다, 들뢰즈, 보드리야르 등의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공유하는 관점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백미는 두 주인공 간의 갈등이 서로의 입장을 긍정하는 가운 데 화해 국면으로 전환되는 데서 끝내지 않고, 영화는 허구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실재가 될 수 있다는 라캉적 사유를 전개한다는 데 있다. 그렇게 이 영화는 깡패 이강패를 끝내 사회(현실) 속에서 안전하게 구원하지 않고 저 동일시가 (불)가능한 실재의 응시로 바꿔놓음으로써 반영웅에 대한 장르적 애호를 확정한다. 뿐만 아니 라 이 모든 이야기를 스크린 속의 스크린에 가두는 라스트 씬을 통해 영화의 내러 티브 현실과 관객의 현실 간의 간극을 없애버린 채, 관객에게도 저 트라우마적 충격의 표상인 ‘응시 자체’를 보라고 권유한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는 영화다>는 장 르 영화의 외피를 가졌을 뿐,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진지하게 파고 드는 보기 드물게 철학적인 영화라 할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이강패:실재와 모방의 차이에 관한 플라톤적 접근
 3. 장수타:재현과 창조의 관계에 관한 고전기 영화이론적 접근
 4. 이강패/장수타:현실과 허구에 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5.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소연 Kim, Soh-Youn. 단국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