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가 베르토프의 ‘키노-아이(kino-eye)’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원문정보

Epistemological Research on Dziga Vertov's Cinematic Concept “Kino-Eye”

이정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ur research deals with 1920's russian director Dziga Vertov's cinematic concept “Kino-Eye”. Such a concept was in fact conceived by Dziga Vertov in order to “reveal the image of the thoughts of the living human being.” In Vertov's view, the cinema can help contemporary man evolve from a flawed creature into a higher and more precise form. Therefore Vertov attempts to connect his cinematic ideas and techniques to the advancement of the thoughts of the human being. Vertov proclaims the primacy of the camera itself (the ‘kino-eye’) over the human eye. He clearly see it as some kind of innocent machine that can record without bias or superfluous aesthetic considerations (as would, say, its human operator) the world as it really was. The camera (kino-eye) is a machine that can be perfected bit by bit, to seize the world in its entirety and organize visual chaos into a coherent, objective set of pictures. At the same time Vertov is keen to assert that his kino-eye principle is a method of ‘communist’ (or ‘true marxist’) deciphering of the world. Considered to be records of actuality, “life as it is”, les films produced by kino-eye can reveal the honest truth of perception, and present the real image of thought in function of the objective and scientific tool of analysis on reality, acting counter to institutional mode of representation.

한국어

1920년대 소비에트 몽타주 학파의 일원인 지가 베르토프의 영화적 개념들은 영 화를 현실의 재현 양태가 아닌 살아있는 존재운동의 표현으로 규정하려 한 20세기 후반의 영화 이미지에 대한 사유의 방향을 선구적으로 제시한 영화철학적 제언들 이다. 특히 ‘키노-아이’의 개념은, 베르토프의 또 다른 핵심적 개념인 ‘간격’과 더 불어, 영화이미지의 물질적인 시지각적 요건에서 출발하여 ‘사유의 이미지’로서의 영화의 역량을 일깨우려 한 ‘감각의 이론적 전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보여준다. 키 노-아이의 개념은, 인간 지각 체계의 특권을 거부하고 시지각의 토대와 가능성을 물질의 변증법적 운동의 실천 속에서 파악하면서 물질 혹은 사물의 운동을 지각, 해석, 조직하는 새로운 지각 체계이자 물질적 실천인 기계, 즉 카메라를 제안한다. 영화물질, 영화사실인 세계를 지각적으로 수용하여 압인할 수 있는 카노-아이 의 가능성은, 기억의 원재료와도 같은 기억흔적으로서의 사실-이미지들을 사유의 운동과도 같은 끝없는 몽타주 과정 속에서 일종의 시각적 논리, 시각적 방정식을 구조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유물론적 변증법이 선취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물질-이미지, 사유-이미지의 하나이다.

목차

1. 지가 베르토프의 영화적 문제제기의 현재성:물질 - 이미지, 사유 - 이미지인 영화
 2. 지가 베르토프의 이미지 교육학: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
 3. 키노 - 아이:세계 - 진실을 지각하고 해석하고 조직하는 기계
 4. ‘기억흔적’으로서의 포토그램
 5. 영화적 사유의 가능성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하 Lee, Jeong-ha. 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영화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