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60년대 대중문화의 형성과 시민사회로서의 영화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Popular Culture And Films as Civil Society in the 1960s

조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argue that, instead of being hegemonic, the Korean films in the 1960s became the means of increasingly politicizing the areas of everyday social and cultural life previously controlled solely by state power.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military regime recognized its limitations as state since the regime relied on its rule mainly by military dominance. That is, once military’s monopoly of violence controlled the state apparatus and dominated the political system, the regime’s effort to establish a stabilized social consensus began immediately. The issue was, in the end, the need to re-establish a new form of civil society so that it could build a recognized form of social authority without continual recourse to violence and terror. It was within this context that the regime recognized the extraordinary value popular culture could bring to its legitimacy and stability as an important part of civil society. The regime hoped to accomplish this by directing the energies of the people through new forms of popular culture including ever-popular films toward the goals of rebuilding the nation. In this new cultural policy, however, while it gave the regime the right to redefine the national culture, there was always a danger that popular culture might, in the final analysis, represent a domain of struggle for freedom and democratic values since the authoritarian military regime as a political structure was vulnerable to its own internal contradictions. I, therefore, suggest that everyday practices depicted in the films of the 1960s were actually the primary means by which the existing social order was simultaneously affirmed, criticized and dissolved. Resistance, in this context, often took place in seemingly apolitical domains and semiotic struggles often predominated in the place of struggles over structural changes. Film’s challenges to the dominant ideology were often able to escape the notice of the government censorship because they occurred in entertainment, but they would be striking to the audience whose social experienc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official social system. It was, then, the micropolitics of everyday life in popular culture in general and films in particular that brought about more democratic power relations in the 1960s.

한국어

이 글은 1960년대 한국영화가 국가 헤게모니를 위해 동원됐다는 주 장에 반해 국가권력에 의해 완전히 통제됐던 일상의 사회문화적 생활 영역을 점차적으로 정치화하는데 중요한 매체수단이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결론은 정권이 오로지 군사적 지배만으로 통치해서는 국가 로 기능하기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한 것으로 해석한 결과다. 다시 말 해 일단 군사정권이 폭력수단의 독점을 통해 국가기구를 통제하고 정 치체제를 지배한 이후에 즉각적으로 필요했던 후속 작업은 총화를 통 한 사회적 안정을 정착시키는 일이었으며, 결국 군사정권은 지속적으 로 폭력과 테러에 의존하지 않고 사회적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시민사회를 재정립할 필요를 절감하게 된 것이다. 바로 이 맥락에서 군사정권은 대중문화가 시민사회의 중요한 일부 로 기능하면서 자신들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정치적 안정을 가져다 줄 특별한 가치가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영화를 포함한 새로운 대중문 화를 통해 대중의 에너지를 모아 국가재건의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문화정책은 한편으로 이를 통해 정부가 이제 국가문화를 재 정의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지만, 항상 위험 부담이 뒤따르는 모험이기도 했다. 이는 대중문화가 최종심급에서 자유를 위 한 투쟁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군사독재정부가 정치체제로서 내부 모 순에 취약한 점도 대중문화가 자유와 민주적 가치를 재현할 유리한 조건으로 작동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1960년대 영화에서 묘사된 일상적 실천이 기존의 사회질서를 수용 하거나, 비판하거나 해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했다는 결론은 이 런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했을 때 가능한 해석이다. 이 상황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저항이란 비정치적으로 보이는 영역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며 그 형태 또한 전면적인 구조적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투쟁의 양상을 보이는 것도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당대의 영화가 지배 이데올로기에 도전하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검열을 피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저항적 의미가 단순한 오락적 가치에 불과한 것으 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반 지배 이데올로기적 가치는 공식 적인 사회체제와 다르게 일상을 경험한 대중들에게는 매우 인상적인 의미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1960년대 대중문화와 영화는 일상적 영역의 마이크로 정치를 통해 보다 민주적인 권력관계를 대중 들에게 제시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목차

1. 대중문화와 구성주의적 접근방법
 2. 이데올로기, 유토피아 그리고 대중문화
 3. 대중문화형성과 시민사회
 4. 영화와 문화정치
 5. 대중문화와 사회변동 :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흡 Cho, Heup.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