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bout the performance and ideological containment in historical film. Insofar, in the field of film studies has neglected the study of historical film. But historical film has performed the important role in relation of popular historical identity. In this paper, the term of the ideological containment was originated by Fredric Jameson. Fredric Jameson makes a point that the political unconscious is result of ideological containment. When History is closed by ideology, the trace is there. A Study on the ideological containment in historical film is research of this trace. That all history, including written history, is a construction, not a reflection. That history is ideological and cultural product of Korean context at a particular time in its development. Historical film, analyzing in this paper, conceal own’s trait as ideological construct. The performance of historical film is the result of this concealment. With this theoretical approach, At first, I want to propose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film criticism, and then, want to analyze 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a few of korean historical film in rlation to the Korean society. Historical film, analyzing in this paper, conceals own’s trait as ideological construct. This paper make an analysis of Seopyonje and The Tae Baek Mountains. These historical films suture a crisis and anxiety of present with name of nation. Because the nation is useful to unify the constituent, historical film interpellates nation to suture crack of Other. through its analysis, national cinema can be understood as histories of crisis and conflict, of resistance negotiation. But this ideological trace is not just about film. It is a sort of process to know what the real life actually is like through the text analyzation. You can see that it is essential to argue in public sphere to happen history and to escape from the ideology of official history.
한국어
역사영화가 과거와 조우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역사영화를 통한 과거와의 조우는 교과서를 통해 학습하는 공식역사와 확연하게 구별되는 조건 속에 과거를 경험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역사영화는 과거를 재현한다 하더라도, 현재의 관점이 투영될 수밖에 없다. 과거를 해석하는‘현재의 관점’이야말로 우리가 역사영화를 연 구해야 하는 궁극적인 이유이다. 역사영화가 그 어떤 영화보다도 사 회 구성원의 통합적 정체성과 연관된 중요하다는 특성은, 역사영화를 헤게모니적 협상의 치열한 전투장이 되도록 한다. 하지만 역사영화가 기존의 공식역사와 다른 역사적 정체성을 매개할 잠재력이 지니고 있 다 하더라도, 이는 공식역사로부터 완전한 탈영토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존의 공식역사를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저항적 역사영 화라 하더라도, 그 저항이 기존 체제의 완전한 전복을 지향하지 않는 이상 저항의 한계 지점을 내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역사영화가 일관된 서사를 통해 역 사적 비전을 보여주려 할 때, 그 과정에서 공식역사와 비판적 역사 간 의 간극을 은폐하려는 힘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역사영화를 두고 작 용하는 힘들 간에 이뤄진 밀실의 협상은 프레드릭 제임슨의 표현을 빌려 이데올로기적 봉쇄라 부를 수 있다. 역사영화의 이데올로기적 봉쇄는 역사영화가 대중의 집단적인 역사적 정체성과 관련해 그 필요 성이 제기된 것이다. 달리 말해, 역사 속에는 어떠한 실천적 힘이 그 스스로를 은폐한 채로 작동하며, 따라서 역사적 정체성은 역사적 사 실이나 진실 속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수행적 실천의 효과라는 것이다. 본 연구가 역사영화를 진술문이 아닌 수행문으로 바라보려 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이러한 역사영화의 성격은 <서편제>와 <태백산맥>에서 적절히 드 러난다. <서편제>의 유봉은 식민화된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이중적 분열, 혹은 찢겨짐을 표상한다. 외부의 물질적 삶과 내부의 정신적 삶 간의 간극은 식민적 근대화를 경험한 사회의 근본적인 적대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서로가 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결코 좁혀지거나 화해 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하지만 <서편제>는 소화의 희생을 통해 이 러한 역사적, 현실적 적대를 드러내면서도 그것을 텍스트 속에 다시 봉합해버린다. 따라서 <서편제>가 당시 대중의 역사적 정체성과 조우 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불편한 진실을 드러냈다는 일차적 차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를 재봉합함으로써 실재적 적대의 공포를 무마 시킨다는 점에 있다. <태백산맥>은 민족주의의 이름으로 민족의 분열 을 초래한 이데올로기적 투쟁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남한 사회의 모든 적대적 투쟁이 역사와 민족을 위태롭게 하는 대상으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1990년대 남한 사회의 이데올로기적 투쟁 역시 함께 부정되 는 것이다. <태백산맥>은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투쟁을 죄라 부른다. 코리안 뉴웨이브가 역사를 성찰함으로써 공식역사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들 영화가 보여주는 저항과 비판의 한계야말로 역사영화와 역사 담론이 궁극적으로 마주할 수밖에 없는 역사의식의 한계이다. 역사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태도 속에 내재한 한계를 분석하는 작업은 역사영화에 대한 영화 비평이 수행하는 문화 적 실천이다.
목차
2. 현재가 역사를 말하다
3. 역사 영화의 수행성과 정치적 무의식
4. 텍스트 분석 : 코리안 뉴웨이브 시기 임권택 영화를 중심으로
4-1. <서편제>, 물질적 삶과 정신적 삶 간의 분열 감추기
4-2. <태백산맥>, 부정으로서 민족주의
5. 역사 영화와 비평적 개입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