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원고 : 영화사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식민성(植民性)

원문정보

Cultural Coloniality of Korean Animation

조미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recently, rather than artistic accomplishment and value of animation, Korean animation has focused on public expansion and industrial added value and has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American and Japanese animation. Of course, as it is with all cultures,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o another culture is inevitable in certain stages. However, when we follow the historical track of Korean animation, it cannot be denied that deeply rooted mentality and awareness of cultural coloniality still remains. In order to overcome such mentality, two characteristic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Korean animation have been insisted upon. However, emphasis on “individuality” is only possible by returning to the utopia-like creativity that is pure and unpolluted from prior to colonization, and emphasis on “universality” has the problem of critiquing all forms of art with a single measuring stick, ignoring the differences and mentality that result from differences cultural, social, and ethnic differences.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complete abandonment of recognition of cultural coloniality and individuality of Korean animation based on the Freud’s disavowal theory. The reason is because when it is recognized that Korean animation until today is a hybrid culture that was formed through the collision of two cultures of Western imperialism and a colonized state, colonial subordinate relationship can be overcome. Therefore, through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colonized reality that ruled Korean animation in the past, and by painfully confessing that its history has been nothing more than imitations and followings, an opportunity for self examination and self reflection must be taken.

한국어

그동안 한국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실천과 가치보다는 대중적 확산과 산업적 부가가치에 집중, 미국이나 일본 등의 애니메이션의 영향권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 물론 모든 문화가 그러하듯이 일정한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와 융화되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적 궤도를 따라가 보면 문화적 식민성의 사고와 의식이 뿌리 깊게 남아있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 애니메이션의 ‘보편성’과 한국애니메이션의 ‘독자성’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독자성’의 강조는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식민지’이전으로의 회귀가 유토피아적 상상력 속에서만 가능한 일이며, ‘보편성’의 강조는 문화적, 사회적, 민족적 차이에 따른 사고방식의 차이를 무시한 채 모든 예술을 한 하나의 보편적 잣대로 판단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부인(disavowal)’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식민성의 인정과 독자성에 대한 전면적 폐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 애니메이션은 서구 제국주의와 피식민이라는 두 문화간의 충돌과 만남으로 이루어진 혼성화된 문화라는 것을 인정했을 때, 앞으로의 식민지적 종속관계를 해체하고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동안 한국 애니메이션을 지배해온 피식민지적 현실을 인정하고, 그 역사적 과정은 모방과 뒤따르기에 다름 아니었다는 쓰라린 고백을 통해 자성과 성찰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목차

1. 한국 애니메이션의 몇 가지 고민들
 2. 문화적 식민성의 양상
 3. 식민성의 부인(disavowal)과 혼성성 (hybridity)
 4. 전통성의 창조적 파괴와 전통의 창출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미라 Cho,Mi-Ra.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