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원고 : 기억의 매력, 망각의 매혹

식민의 역사, 동아시아의 기억 : 한국·중국·대만·홍콩·일본의 몇몇 영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emories of Colonization and the East Asian Films

김동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Korea, China, Taiwan, and Hong Kong all belong to the Confucian cul- ture and were under the rule of Imperialist Japan in the early modern age, their memories of the colonization differ because the original experience was mixed and arranged with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as a result, expressed rhetorically and metaphorically. This article considers the East-Asian countries’ memories of the Japanese occu- pation by comparing some movies made in Korea, China, Taiwan, Hong Kong, and Japan: One Korean film Epitaph(Gi-dam), two Chinese ones Farewell My Concu-bine and Devils on the Doorstep, two Taiwanese ones The Puppetmaster and A City of Sadness, and two Hong Kong movies Once Upon A Time in China and Once Upon A Time in China Ⅱ. In Epitaph, first of all, remembrances of the colonization have a structure of a huge trauma or grudge. While they are suggested as an accident in a long, long history in the Chinese films, those Hong Kong ones show an ironicallystructured body between England and China, that is between modernity and feudalism. In the case of the Taiwan movies, memories of the colonization are more complex because they are associated with the unique historical situation; Taiwan had been occupied by Spain, Netherlands, Qing, and Japan since seventeenth century. Also, In the Realm of the Sense let us realize that a field of the colonization could exist even in the Imperialist Japan.

한국어

이 논문은 영화를 통해서 동아시아의 식민의 기억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 중국 대만 홍콩은 유교 문화권에 속하며 또한 근대 초기에는 일본제국주의에 통치된 경험이 있다. 하지만 식민에 대한 역사적 기억은 이들 나라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식민의 경험과 기억은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과 혼종되거나 병치되면서, 수사적이거나 비유적인 양상으로 드러난다. 이 글에서는 한국·중국·대만·홍콩·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의 식민과 관련된 영화적 기억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한국의 경우 <기담>, 중국의 경우 <패왕별희>, <귀신이 온다>, 만의 경우 <희몽인생>, <비정성시>, 홍콩의 경우 <황비홍 1>, <황비홍 2>를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의 경우 식민의 기억은 거대한 정신적 상처 또는 원한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중국은 식민의 경험이 영원한 역사 속에 놓인 하나의 사건으로제시된다. 홍콩의 경우 영국과 중국 달리 말하면 근대성과 봉건성 사이에서 아이러니컬하게 구조화된 몸을 보여준다. 대만의 경우 독특한 역사적 혼종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17세기부터 스페인, 네덜란드, 청, 일본의 지배 아레에 놓였
던 역사적 경험과 관련된다. 아울러 제국주의 일본 내부에도 식민의 영역이 존재할 수 있음을 영화 <감각의 제국>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목차

1. 아시아의 복잡성과 식민의 경험
 2. 근대성 · 식민성 · 봉건성이 빚어내는 이중의 아이러니 : <황비홍 1>ㆍ<황비홍 2>
 3. 다중적인 식민의 경험과 중층화된 식민의 무의식 : <희몽인생>ㆍ<비정성시>
 4. 사건과 표상으로서의 식민기억 :  <귀신이 온다>ㆍ<패왕별희>
 5. 현재적 공포의 원인, 또는 식민의 기억 : 「고향」ㆍ『심청』ㆍ<기담>
 6. 결론을 대신하여 : 식민제국 내부의 식민지를 바라보는 시선에 관하여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식 Kim, Dong Shik.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