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사

해방후 민주개혁기의 북한영화 : 공동체, 수령, 주체를 지향하는 북한 영화문화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Films : In the Period of Democratic Reform (1945-1950)

조흡, 이명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North Korea, the period of democratic reform began immediately afterthe surrender of Japan in 1945 and lasted until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During that period, North Korea attempted to reform various fields in order to build a new democratic and progressive state. The movement focuses on two directions, namely, the reform of social institutions and consciousness. The laws on land reform, labor, gender equality, and nationalization are among the reforms the government initiated to build a new modern state that was much different from a feudal state, Chosun. With these institutional reforms, North Korea also carried out a spiritualreform to eradicate remaining vestiges of feudalism and capitalism that were still widespread across the board. The movement adopted new cultural policies and formed new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name of‘ total mobilization ofnational founding thoughts'. It made use of films and literatur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fined' realism. That is, the new style of arts should now depict a reality of labor and the people. It is not surprising, then, the films from this period represented mainly an ideal communal society showing different looks of the country in various fields after the reform.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these films should make up for what has been missing in the Korean film history. More importantly, they tell us that there have been two ways of pursuing modernization and they contain the experiences of modernity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South Korea. By recovering the lost film history, we may be able to have a better grasp of how cultural formations in North Korea came into being and how cultures of two Koreas differ from each other. This, we argue, should be the first step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states.

한국어

해방직후 1950년 한국전쟁 이전까지를 북한에서는 민주개혁기라고 한다. 민주 개혁기에 북한은 진보적 민주주의를 목표로‘새 조선’건설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많은 개혁을 시도했다. 개혁운동은 두 가지 방향에서 전개되었는데 제도적 개혁과 동시에 의식개혁 역시 추진되었다. 북한은 1946년 3월 토지개혁을 필두 로 노동법령, 남녀평등법, 중요산업 국유화 법령을 공포함으로써 사회주의를 향 한 민주개혁을 착착 진행했다. 이상의 법령들은 봉건 조선과 달리 근대국가의 새 로운 규범들이었다. 제도적 개혁이 만들어졌지만 일제 잔재와 봉건적 태도,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은 사회 전반에 뿌리 깊게 남아있어 근대적 제도에 걸 맞는 의식개혁 역시 추진 되었다. 의식의 개혁은‘건국사상총동원’이라는 이름하에 국가차원에서 새로운문화정책, 강령을 만드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예술 조직과 의식개혁운동을 포 함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건국사상총동원’에는 영화 및 문학예술이 동원돼‘고상한 사실주의’를 새로운 창작방법으로 내세웠다. 그것은 노동현장에 들어가대중들의 현실을 담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영화 역시 토지개혁, 노동법령 및 남녀평등법의 시행 등 제도적 개혁 후 달라진 농촌 및 도시의 모습과 새로운 근로관계, 개인과 공동체의 이상적 관계를 재현했다. 민주 개혁기에 제작된 기록 및 예술영화들은 우리가 지금까지 놓쳐왔던, 북한대중들이 남한 대중과 달리 겪은 새로운 근대적 문화 경험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사회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현재의 남북의 문화적 차이가 어떠한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작업이다. 그러나 이 글의 궁극 적인 목표는 이 두 이질적인 문화를 어떻게 회복시킬 것인가에 대한 가능성을 모 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 해방과 북한의 문화건설
 2. 건국사상 총동원과 영화
 3. 토지개혁과 영화
 4. 문맹퇴치운동과 대중교육
 5. 노동현실과 영화
 6.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흡 Cho, Heup.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조교수
  • 이명자 Lee, Myung-Ja.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