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원고 : 동북아시아 영상문화 교류, 어제와 오늘

초기 한·중 영화교류의 한 면모: 해방 이전 한국에 유입된 중국 영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spect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n Early Cinema Era: Focused on the Films Imported before 'Liberation'

임대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concentrated on an aspect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n early cinema era. It dreams that it can be a starting point of some trans-Asian cultural studies. Traditionally speaking, it may be called interchange history of cinema. It establishes following thinking that there are four steps(layers) at least in the interchange history of cinema between Korea and China. First, the import Chinese films before liberation; Second, the activities in China by Korean film makers, directors and actors; Third, the interchanges between Korea and Hongkong in 1950-80; Fourth, the interchanges between Korea and Mainland China after 1990. This study has tried to the first category and looked for the trans-national traces in the interchanges between the early Korean and Chinese cinema. It mentioned some agonies that can explain the layers of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history as an introduction and methodology. After that, it reflected on some tendencies of studies that were passed. It also tried to prove specific historical facts through som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was published in 1920-30. The ultimate purpose is when the first Chinese film was imported to Korea. As a result, the first film was imported from China to Korea is the Tale of Three States(SanGuoZhi: the tale about DiaoChan and DongZhuo or the tale about Resolution in the Peach Garden). Finally, I hope to the study and proof on this topic will be progressed minutely and continuously.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사이에 이뤄진 영화 교류의 한 면모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후 지속될 아시아 여러 나라 사이의 국적의 경계 넘기 현상과 의미에 관한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말하면, 영화 교류사에 관한 논의라고 불릴만한 이와 같은 연구는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가 최소한 다음과 같은 네 단계를 거쳐 변모해 왔다는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첫째, 해방 이전 중국 영화의 한국 유입. 둘째, 해방 이전 중국에서 이뤄진 한국 영화인들의 활약. 셋째, 1950-80년대 홍콩과의 교류. 넷째,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중국과의 교류. 이 중 첫 번째 범주에 주목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한-중 영화 교류의 초기 사실史實 속에서 국적 간 경계를 뛰어넘는 흔적들을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영화와 역사의 관계를 추적하는 네댓 가지 층위들에 관한 고민을 서론으로 삼아 그 방법론을 탐색하고 기존의 연구 경향들을 성찰하며 식민지 ‘조선’에 유입된 중국 영화의 구체적 사실들을 몇 가지 사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히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초점은 1920-30년대 신문과 잡지를 중심으로 한 한국 측 사료와 중국 측 최근 자료를 종합하여 ‘조선’에 유입된 중국 영화들의 면면, 그 중에서도 최초의 중국 영화가 언제 어떻게 들어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 유입된 최초의 중국 영화는 1926년 혹은 1927년의 〈삼국지〉(초선과 동탁 이야기 혹은 도원결의 이야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초기 영화교류에 관한 고증과 연구는 향후 지속적이고 치밀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목차

1. 영화와 역사의 관계를 추적하는 네댓 가지 층위들
 2. ‘조선’ 에 유입된 중국영화
  2-1. 중국영화에 대한 1920-30년대 '조선’ 의 인식
  2-2. ‘조선’ 에 최초로 유입된 중국영화
 3.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임대근 Lim, Dae 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