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omas Aquinas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ioneer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who systematically treated human emotions from an anthropological as well as from a moral point of view.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bring out the richness of Aquinas' theories of emotion, mainly by analyzing his texts of Summa Theologiae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his theories of habitus and virtue. From this, it will be shown that Thomas' distinction between antecedent and consequent emotion, and the real significance of Thomas' claim that passion increases the moral status of a human action, are best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arguments on habituation and virtue.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Antonio Damasio's somatic marker hypothesis provides support to Thomas Aquinas' insights on 'habituated emotion' at the neurological level and opens his thoughts to contemporary analysis.
한국어
토마스 아퀴나스는 철학사 안에서 감정을 인간학적 관점에서뿐 만 아니라 도덕적 관점에서도 다룬 선구자들 중 하나다. 이 논문의 목표는, 그의 습성화 그리고 덕에 관한 이론이라는 보다 넓은 체계 안에서 신학대전을 중심으로 관련된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감정 에 대한 토마스의 이론의 풍요로움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 작업을 통해, 토마스가 제시한 선행감정과 후속감정 간의 구분과 “감정이 인간 행위의 도덕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토마스의 주장이 습성 과 덕에 관한 그의 논의를 배경으로 할 때만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신체 적 표지자 가설’이 ‘습성화된 감정’에 대한 토마스의 통찰을 신경학 적 수준에서 지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토마스의 사상이 현대 적 분석에로 개방될 수 있음을 입증할 것이다.
목차
2.
3.
4.
5.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