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hat is the source of virtual power of dignity of life and creativity of life? Aristoteles explained the principle of life as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actuality and possibility, and showed a nature of individuals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in a form by matter. His metaphysics and its biological interpretation were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of life and individuality, and have been continued as a teleological world view until modern times. It is Bergson, who cuts off a teleological view of nature in philosophy of nature in modern times and a concept of life of organism, and receives creatively Darwin's evolution. He offers a new vision to philosophy of life and view of nature in the present. Bergson abandons the ontology of individuals supported by the principle of one and many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prepares a concept of multiplicity, and then shifts life to a dimension of virtualiy newly. Namely, the virtual instead of the possible is a principle which controls not the principle of matter-form but multiplicity. Deleuze actualizes the multiplicity of ideal dimension into a biological multiplicity. Deleuze thinks that multiplicity shows virtuality and creativity of life in the dimension of differenciation.Deleuze receiv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of Simondon, connects it into the horizon of univocality in pre-individual status, and the ideal-virtual dimension of individuals. Deleuze appli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o the princple of differenciation in biology and connects it into the genesis of germ. The philosophy of life in Deleuze surpasses Darwin's genealogy of evolution, and joins the dimension of virtuality of life to rhizomatous plan, and implies the meaning which can extend into an ethical and metaphysical horizon.
한국어
생명의 존엄성과 생명의 창조성의 잠재적인 위력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명의 원리를 현실태와 가능태의 형이 상학적 원리로 설명하였으며, 개체들의 본성을 한 형상 내에서의 질료에 의한 개별화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형이상학과 생물학적인 설명은 생명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설명하는 원리로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목적론적 세계관으로 지속되어 왔다. 근대 자연 철학의 목적론적 자연관과 유기체적 생명 개념과 결 별하고 다윈의 진화론을 창조적으로 받아들여 현대 생명 철학과 자연관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 철학자는 베르그송이다. 베르그송 은 전통 형이상학에서의 일과 다의 원리에 입각한 개별자의 존재 론의 원리를 버리고, ‘다양체’ 개념을 새롭게 마련하여 생명을 잠재 성의 차원으로 획기적으로 전환시켰다. 즉 가능한 것을 대신하는 잠재적인 것은 질료형상설을 따르지 않는, 다양체에 작동하는 원 리가 된다. 들뢰즈는 이러한 이념적 차원의 다양체를 생물학적 다양체로 현 실화한다. 들뢰즈는 다양체가 분화의 차원에서 생명의 잠재성과 창조성을 보여 준다고 생각했다. 또한 들뢰즈는 시몽동의 개체화 의 원리를 수용하고, 이를 전-개체적 상태의 독특성의 지평이자, 개체가 갖는 이념-잠재적인 차원과 연결시킨다. 들뢰즈는 개체화 의 원리를 생물학에서의 분화의 원리에 적용하여 배의 발생으로 연 결시킨다. 이러한 들뢰즈의 생명철학은 다윈의 진화론의 계보를 넘 어서서, 생명의 잠재성의 차원을 리좀적인 평면으로 연계하여 윤리 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지평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목차
2. 들뢰즈의 베르그송 생명 개념의 수용
3. 들뢰즈에서 생명의 잠재성의 차원
4. 발생과 개체성으로서의 생명
5. 생명의 잠재성의 형이상학적 의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