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광고 소구유형에 따른 전기피부활동 및 안면근전도 반응과 자기기입식 설문응답과의 차이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for the Difference Between Skin Conductance and facial EMG and Self-reported Responses

이시훈, 안주아, 정일형, 김광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phisiolosical approach by using electrodermal activity and facial EMG which are mentioned as alternatives to self-reported measurement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responses from self-reported measurement and those from psychophysiological measurement to advertising appeal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all of 10 advertising appeal typ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V program and the experimental advertisement. EDA response was higher to advertisement compared to the TV program. Also, under the condition using fear appeal and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corrugatorsupercilii muscle activity indicating negative feelings was more activated. However, between EDA and SAM,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Also, the corrugatorsupercilii muscle activity is highly related with the self-reported SAM results, However, the zygomaticusmajor muscle activity indicating positive feelings was not cl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replace self-reported measurement with psychophisiological measurement, we should approach to psychophisiological methods with much caution such as artificial treatment and procedure, tense posture and environment, and experimental materials. Now we should depend on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to choose the situation where psychophisiological measurement can replace self-reported one.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광고영역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심리생리학적 접근에서 광고소구 유형에 따른 전기피부활동과 안면근전도 반응을 살펴보고, 자기기입식 설문응답과 심리생리학적 측정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광고소구 유형 10개 모두 도입부 영상과 실험영상물의 피부전도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도입부 영상보다 실험영상물에서 피부전도 수준이 더 높았다. 또 위협 소구와 섹스어필의 경우 그 강도에 따라 부정적 감정을 나타내는 추미근이 더 활성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피부전도 수준의 변화와 자기기입식 및 SAM의 각성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추미근 활성화는 부정적 감정에 대한 척도로서 SAM과 자기기입식 부정적 감정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대관골근의 경우 긍정적인 감정의 지표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심리생리학적 지표가 자기기입식 응답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과 많은 조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인위적인 처치와 절차, 경직된 자세와 분위기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특히 실험물에 대한 더욱 면밀한 검토가 중요하다. 현재로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일관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심리생리학적 지표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자기보고식 응답을 대체해 사용해야 함을 제안한다.

목차

초록
 1. 연구배경 및 목적
 2. 문헌연구
  1) 피부 측정과 각성
  2) 안면 근전도와 감정 유인가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실험물 제작과 사전조사
  2) 측정
  3) 분석방법
 5. 연구결과
  1) 실험 참가자들의 인구통계적 속성
  2) <연구문제 1>의 결과
  3) <연구문제 2>의 결과
  4) <연구문제 3>의 결과
  5) <연구문제 4>의 결과
 6.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시훈 Lee, Si-Hoon,. 계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 안주아 Ahn, Jooah. 동신대 방송연예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 정일형 Jeong, ilhyung. 경성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 김광협 Kim, Koanghyub. 계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광고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