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Church is based on the faith of Jesus Christ who is the head of church. And in the world appears church as truth and light. According to its essence church takes vitality and dynamics of reforming society and church itself. While church lost its essential status, it became troublemaker and disorder. The World Church History shows us dualistic faces of church undoubted. Now we ask, how is the Korean church in 21st century? Contemporary critics appoint that it is sinking into crisis.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Korean church has exellent functions for the korean society; for example motivator of social reform and grouth, leader of liberation and modern mind, but now, how Korean church has got anxiety from christian and pagan citizen. How can explain and diagnose in which way Korean church goes down? We will try to get any answer from some critical books on Korean church, and we are looking for method and solution for restoration. In oder to solve this questions deeply we have chosen 4 books. This belong to the section of religious culture, concretely to say critical review of korean christianity. The autors are pastor, higher educator, special writer, and they used any aspect of expert overcoming a simple analysis. The writing period meet together in the latter half of Two tausend year, so that we can better recognize situation of contemporary christianity in korea 4 books that are materials for our research were selected as followed: Sang-Sung Lee(2007), Falling Korean Church. The Future of Church is the future of Korea. Kyu-Hak Hwang(2008), The common sense, crying for Korean Church. Du-Sik Kim(2010), The world in the church, the church in the world. Jong-Guk Back(2010), The church captivated by Babylon. The situation of korean church after 1980 is very skeptic. We can find many factors; some to call are declination of church growth, ghetto-phenomenon and rising of anti-christianity group. These factors threat development of korean church under postmodernism and mass media which still effect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church. The review of korean church that we have chosen for the research show four perspective: theological, ecclesiological, pastoral perspective and that of church growth. Each book try not to raise questiions but to give diagnosis. In this point korean church have to accept for restoration and revival. For example korean church have to practice social ethics, to reform the political structure of church, to reject the hierarchy in church system, and to renew extreme tendence of ego-centered church growth. Now we recognize the sign of crisis in korean church. Some parts of critical review on korean church will show the way for its future. As much as the reformator as Luther, Zwingli, and Calvin struggled to reform their society and church with the Bible, korean church are due to realize the spirit of Reformation. To be the church of the Bible is the best way for expansion of Kingdom of God.
한국어
교회는 진리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교회의 머리로 하여 세워지므로 세상 가운데서 진리와 빛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교회는 성경적일 때 본질상 스스로를 개혁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생명적 역동성을 추구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교회가 그 본질을 잃으면서 세상을 어지럽히고 지탄받는 위기에 떨어지기도 했다. 세계교회사는 교회의 이런 양면적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21세기 한국 교회는 어떤 모습일까. 현대 한국 교회는 그야말로 근본적인 부분에서 위기에 봉착해있다고 입을 모은다. 개화기 때부터 한국 사회의 계몽, 개혁과 성장, 민주주의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한국 교회가 어떻게 해서 사회의 걱정거리가 되는 자리에 이르게 되었는가. 나라와 민족을 겸손히 섬겨오면서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한국 교회가 어떻게 안티 그룹과 신앙인들로부터 무례하고 오만한 기독교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는가. 그렇게 된 과정과 원인을 기독교비평서에서 찾아보며 회복과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4 권의 저술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책들은 종교문화저술로 분류되는데,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기독교비평서라 할 수 있다. 저자들은 기독교인으로서 목사, 교육자, 전문집필가의 직함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독교에 대한 단순한 인상비평을 넘어서 전문가적 안목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술 시기도 2000년대 후반으로 현대 한국기독교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동시대성도 갖고 있다. 연구대상인 4 권은 다음과 같다: 이상성(2007). 『추락하는 한국 교회. 교회의 미래는 한국의 미래다』. 황규학(2008). 『한국 교회, 상식이 운다』. 김두식(2010).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 백종국(2010). 『바벨론에 사로잡힌 교회』.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 상황은 실로 비관적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데 그 중 몇 가지 요인을 손꼽는다면, 성장후퇴론, 게토론, 그리고 안티기독교 세력의 등장이다. 이들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미디어 확산의 영향 아래서 급속하게 기독교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었다. 이 요인들은 기독교 안팍에서 다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독교비평서를 통해 살펴본 한국 교회는 4가지 측면에서 분석되고 있다. 신학적 측면, 교회론적 측면, 목회학적 측면, 교회성장학적 측면이 그것이다. 각 저서는 문제제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진단에 대한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점은 한국 교회의 회복과 부흥을 위해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부분이다. 예를 들면 한국 교회는 사회윤리를 회복하고, 교회 정치 구조를 개혁해야 하며, 권위적인 교권주의를 탈피해야 하며, 개교회성장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 교회가 현재 위기상황에 처해있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기독교비평서는 미래 교회의 부흥을 위한 제안서 역할을 하고 있다. 루터, 쯔빙글리, 칼빈과 같은 종교개혁가들이 성경을 중심하여 교회와 사회를 개혁해 나갔듯이, 21세기 한국 교회도 그러한 개혁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교회의 교회다움은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는 데 가장 기본적인 조건임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개신교회의 위기
1. 문제제기: “한국 교회 이대로 좋은가”
2. 연구의 의의와 목적
3. 논지의 구성과 차례
II.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 상황
1. 성장후퇴론
2. 게토(ghetto)론
3. 안티 기독교 등장
III. 기독교비평서 속의 한국 교회
1. 신학적 측면
2. 교회론적 측면
3. 목회학적 측면
4. 교회성장학적 측면
IV. 회복과 대안
1. 신학적 대안
2. 교회론적 대안
3. 목회학적 대안
4. 교회성장학적 대안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