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存齋 詩의 心象과 그 精神的 意味

원문정보

The literary view of the poet and self-consciousness

존재 시의 심상과 그 정신적 의미

강동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oetry works of Jonjae Wibaekgyu (1727~1798), the literary man of late Josun Dynasty, to grasp the implicit image and minimal thinking in the works, and finally to explain their spiritual meanings.
There are lots of poetry works reciting nature as subject matters in the poems of Jonjae. It is certain that the ideology of human beings and literature comes from accumulation of the idea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especially, the idea of poetry literature is usually rooted in nature and its subject matters.
First, there are lots of images of light in the poetry of Jonjae such as stars, moon light, light, flowers and water. Jonjae draws the conception of being careful when being alone through light, also he shows his deep depression with apricot flower. However, all the works have the themes of recognizing the logic of the sky. It is proved by the fact that Jonjae directly mentions the logic of the sky by connecting water to moon light. In fact, light and water are the existences without sounds and smells. So to speak, they are the things between existence and the notion of nothing, Jonjae not only presents such images frequently but also uses the sounds as an image of recognizing the existence. That is to say, the echo of the sound is to recognize the Jonjae of the writer himself and to make the poetic imagery towards the response. Therefore, there are lots of images of tranquility and sounds in the poetry of Jonjae, and they are the products of scholar of the realist who emphasized on practical learning. Jonjae‘s poetry has many works which recite atmosphere of beautiful mountains, his postical inspiration during the period of wandering around the country. He does not stay with using simple subject matters for his poetry in this part, but recites his contemplation of the image of dynamic rise when climbing a higher place. Their spiritual meanings lie writer's frustration that he was not able to speak of his aspiration, and his spiritual overcome for it.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 후기의 문인 存齋 魏伯珪(1727~1798)의 詩世界를 분석하여 거기에 내포된 心象(imagery)과 사유 방식을 포착하고 그 정신적 의미를 해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 것이다.
형태적 심상은 시각적인 것에 속하고 물질적 심상은 정신적인 것에 속한다는 논리 하에서 정신경계의 모습을 살피기 위해 심상 분석을 선택한 것이다. 또한 존재 시에 나타난 심상은 또렷한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존재의 사유를 관철하고 있다는 기미가 보인다. 이를테면 傲霜孤節의 대명사인 매화를 자신의 울분을 토로하는 대상으로 쓰고 있다거나, 고요함 속의 소리의 울림, 그리고 트인 공간에서의 읊음 등이 무언가 전하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판단되어 심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필자가 존재의 시를 살펴본 결과 우선 거기에는 밝은 것들에 대한 심상이 많이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별을 비롯하여 달빛, 등불, 맑은 물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 심상은 모두 天理에 대한 認識을 주제로 하고 있다. 달빛을 天理에 연결시켜 읊고 있는가 하면, 물을 통해 만물의 근원을 체인하고 이를 형상화한 것이다.
이 빛과 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는 存在다. 말하자면 存在와 無의 접선에 있는 것들인데, 작자는 이러한 심상을 자주 시에 노출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存在를 자각하는 심상으로 소리를 이용하기도 한다. 즉 존재 시의 시적 분위기는 고요한 것이 대부분인데 그 때마다 소리를 등장시키고 있으며,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바로 작자 자신에 대한 存在의 자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存齋의 시에는 산을 소재로 읊은 작품이 散在해 있다. 이들은 단순한 소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상승과 고도의 심상을 통해 남다른 심사를 쏟아내고 있는데 그것들의 정신적 의미는 자신의 포부를 펼치지 못한 울분을 달래며 이를 정신적으로 극복하여 쾌활한 정신을 지향하는 데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빛과 물: 天理에 대한 認識
 3. 고요함과 울림: 存在의 自覺과 對應
 4. 상승과 고도: 快活한 精神指向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동석 Kang, Dong-Seok. 고려대학교 국어국문과 한문학 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