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II) : 분청에 대한 고려자기와 조선백자와의 비교

원문정보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I) : Comparison of Punch’ŏng with Koryŏ Ware and Chosŏn Whiteware

고경신, 주웅길, 안상두, 이영은, 김규호, 이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the beginning of the Chosŏn dynasty, punch’ŏng began as a simplified form of inlaid celadon, and in the two following centuries it developed into a popular folk craft in various styles and expressive decorations; overtime, it was increasingly made to resemble whiteware, and its production stopp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present study, the body and glaze compositions of punch’ŏng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eladon and whiteware, whose compositions have previously been compared with those of Chinese ceramics. Here, the analyzed shards were organized into 28 groups based on their production sites and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ach group, the body and glaze compositions of several shards(usually three to five) were obtained, averag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s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punch’ŏng bodies were formed, like those of celadon and whiteware, with mica-quartz porcelain stone, which was commonly used in Yuezhou, Jingdezhen, and other southern Chinese kilns. The glazes consisted of clay materials and flux components made from various proportions of wood ash, burnt limestone (glaze ash) and crushed limestone. Overall, the punch’ŏng glazes resembled the Koryŏ celadon and Koryŏ whiteware glazes more closely than the Chosŏn white wareglazes. However, the TiO2 levels found in the tested punch’ŏng were low, similar to those of Chosŏn whiteware; this indicated that glaze stone was used as the clay component of the punch’ŏng glazes, as was the case for Chosŏn whiteware. This study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unch’ŏng may be used as a comparative framework for analyzing ceramic shards discovered at current and future excavations within Korea.

한국어

분청사기는 조선초기에 고려상감청자의 무늬가 간소화 된 상태로 시작되었다. 그 후 200여 년 동안에 다양하고 활달한 문양의 민속공예로 발달하였고, 점점 백자를 닮아가는 방향으로 변해가다가, 임진왜란이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분청의 태토와 유약에 대한 화학조성을 분석하고, 여러 도요지들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다른 논문들에서 중국의 경우와 비교 관찰된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들에 대한 결과들과 비교 하였다. 생산도요지와 고고학적인 특성에 의하여 28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그룹에서 셋에서 다섯편의 도편을 분석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청태토는 한국청자와 백자와 같이 중국 남쪽의 월주요, 경덕진요에서 사용된 운모-석영계의 도석으로 만들어졌다. 유약은 점토질의 원료에 나무재, 태운 석회석과 곱게 빻은 석회가루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분청유약의 특성은 조선백자보다는 고려청자와 고려백자에 더 가깝다. 다만 티타늄산화물의 함량은 조선백자와 같이 낮은데, 그 이유는 글래이즈 스톤으로 알려진 도석계의 점토가 분청유약을 제조 하는데 혼합 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의 체계적인 비교방법과 물질적 특성에 대한 내용들은 현재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는 도요지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2.1. Selection and Archaeological Background ofthe Sample Shards
  2.2. Experimental Procedures
 3. Results and Discussion
  3.1.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s
  3.2. Comparison of Glaze Compositions
 4. Conclusions
 References

저자정보

  • 고경신 Carolyn Kyongshin Koh. 중앙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주웅길 Woong Kil Choo.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 안상두 Sangdoo Ahn. 중앙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이영은 Young Eun Lee. 경기도박물관
  • 김규호 Gyu Ho Kim. 공주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이연숙 Yeon Sook Lee. 중앙대학교 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