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5th Century Jar Coffin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정광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5th century kiln that produced pottery coffins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ocated in the Oryang-dong remains in the city of Naju. This kiln,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Yeongsan River, provide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on mortuary practices in prehistoric society, including the structure of production and patterns of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For this study, the remains of five ancient tombs and pottery coffins excavated from the 4th century Mandong archaeological site were chosen to determine the area of consumption of pottery coffins produced at the Oryang-dong kiln. The samples from each area of remains were analyzed for minor elements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method, and from these results, the identities of the corresponding production area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multi-variant statistical analysis of discriminant analysis. The evidence strongly suggests that pottery coffins produced at the Oryang-dong kiln in Naju were used in ancient tombs of the Bannam mound in Naju, the Okyari mound in Yeongam, and the Banam mound in Hampyeong, reaching those sites through trade and distribu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pottery coffins from the Mandong archeological site in Gochang and the Inpyeong mound in Muan were not produced at the Oryang-dong kiln in Naju, but rather were brought from pottery kilns in different production areas, through trade and distribution.

한국어

국내 최초로 5세기 대 옹관을 생산하는 가마가 나주시 오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 가마는 영산강 중류에 입지하고 있으며 고대사회 장묘연구에 있어서 생산과 유통구조 그리고 소비체계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따라서 이 가마에서 생산되는 옹관이 어디로 소비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인근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표적인 옹관 고분유적 5기와 4세기 대 만동유적에서 발굴된 옹관유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성자 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유물들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판별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산지의 동일성을 추정하였다.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옹관은 교역과 유통을 통하여 나주 반남고분, 영암 옥야리고분, 그리고 함평 반암고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고창 만동유적과 무안 인평고분의 옹관은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산지의 옹관 가마로부터 교역과 유통을 통해 유입되었다고 사료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분석유물의 고고학적 성격
  2.1. 만동유적
  2.2. 대안리고분
  2.3. 오량동 옹관가마유적
  2.4. 신촌리 9호분
  2.5. 옥야리고분
  2.6. 인평고분
  2.7. 반암고분
 3. 실험방법
  3.1. 분석대상 시료
  3.2. 시료의 전처리 및 준비
  3.3. 중성자조사 및 계측
  3.4. 데이터의 처리
 4. 판별분석 결과 및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광용 Kwang-Yong Chung. 한국전통문화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