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금산사 미륵전벽화의 손상도 평가 연구

원문정보

Estimation of Damage Degree for Mural Paintings in Maitreya Hall of Geumsan-sa Buddhist Temple, Korea

한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wall paintings in Maitreya Hall of Geumsan-sa temple had displayed a serious state of damage and deterioration, a detailed examination such as structural analysis of the wall, cause of damage, and the state of deterioration have been thoroughly conducted before the conservation treatment has commenced. The most seriously deteriorated part of the wall paintings was the south wall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in its painted and surface layer. The painted layer had formed its own layer of thick, which has been separation from the surface layer. As such problem developed the whole surface layer has been separated from the wall. The problem has been caused by two reasons: 1. the heavy weight of the roof section and it caused cracks and damage on the wall; 2. the loss of function of consolidating material and it caused discolouring and the separation of surface layer from the wall. The cause of damage on the painted and surface layers can be assumed in two ways: 1. its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and ultraviolet rays ; 2. the loss of mechanical function of consolidating material, synthetic resin which had been applied in the past conservation treatment. The separation of layers from the wall and cracks was caused by the mistake in choosing an applicable consolidating material and dismantling technique which had ignored a different characteristic of the wall painting of Korean buddhist temples.

한국어

금산사미륵전벽화는 사찰벽화에서 나타나는 손상상태 중에서도 극히 심각한 상태에 놓여있다 . 이들 벽화에 대한 보존처리에 앞서 벽화의 구조, 특성, 손상유형 및 원인 등 거시적 관점에서 사전조사를 하고 그 결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손상이 가장 심한 곳은 건물의 남측으로, 채색층과 마감층의 손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색층과 마감층 일부가 도막을 형성하며 얇은 두께로 벽체로부터 박리・박락되었으며, 상태가 심한 경우는 마감층 전체가 이탈되기도 하였다. 주요 손상원인은 건물 하중으로 인한 벽체의 균열 및 파손과 과거 보존처리에 사용된 보강재의 열화로 판단된다. 채색층 및 마감층의 손상은 환경적인 요소에서 기인하는 온습도 편차, 자외선으로 인한 물리화학적 손상과 과거 적용된 합성수지 고분자물질의 기계적 물성저하로 인한 영향 등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벽체의 균열, 박락과 과거 보강부위 이탈 등의 손상은 사찰벽화와 물성이 다른 보강재료의 사용과 유럽식 이전복원 공법의 무리한 적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벽화의 현황
  2.1. 과거 보존처리 내용
  2.2. 벽화의 현황
 3. 벽화의 손상상태
  3.1. 유형별 손상상태
  3.2. 벽화별 손상정도
 4. 벽화 손상에 대한 평가
  4.1. 종합 결과
  4.2. 손상요인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경순 Kyeong-soon Han. 건국대학교 회화보존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