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령 양전동암각화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분석

원문정보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Aspect of the Goryeong Yangjeondong Petroglyph

최기주, 이상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ryeong Yangjeondong Petroglyph on the joint face of the bedrock (6m in width, 3m in height) composed of the green sandstone has circles and shield pattern sculptures. The rock is mainly composed of quartz, feldspar, chlorite, illite and calcite with the clay minerals. These clay minerals occur as pore lining, replacement of component and pore fillings. Investigated the weathering aspects including the connection between soluble salt and rock weathering and the stability of the bedrock with petroglyphs. The Major deterioration aspect are grain peel-off, surface exfoliation, cracks and damage. And the bedrock where the joints and cracks advance is interpreted with the fact that has the possibility of the falling rock. For conservation, adhesive need to cover crack and damage and consolidation is necessary in the surface which becomes weak.

한국어

고령 양전동암각화는 녹색 사암으로 구성된 너비 6m 높이 3m의 암반의 절리면에 겹동그라미(3점)와 방패무늬(30 점)의 그림들이 있다. 구성암석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장석 및 녹니석이며, 교질물인 점토광물 중 녹니석이 대부분이나 일라이트와 소량의 방해석도 산출된다. 이들 점토광물들은 구성광물을 피복 및 성분을 교대하거나 공극을 충진하는 양상으로 산출된다. 수용성 염과 암석의 풍화현상과의 관계를 포함한 훼손양상과 암각화가 그려진 암반의 사면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훼손양상은 주로 표면박리, 입자박락, 균열 및 파손 등이다. 그리고 절리와 균열이 발달한 암반은 낙석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보존을 위해서는 균열 및 파손 부위에 대한 접착처리와 약해진 표면층에 강화처리가 필요하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지형 및 암각화의 특징
 3. 연구방법
  3.1. 야외조사
  3.2. 실내연구
 4. 암석학적 특징
 5. 절리 및 사면 안정성 분석
 6. 암석 표면의 지화학적 변화 양상
 7. 풍화 및 훼손 양상
 8. 토의
  8.1. 암석의 풍화작용
  8.2. 보존학적 고찰
 9.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기주 Gi Ju Choi. 강원대학교
  • 이상헌 Sang Hun Lee.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